산지 소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우 소비자 가격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과 관련, 소비자들과 축산농민들이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농림수산식품부 등 정부와 농민단체들 사이에서도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소비촉진운동에만 열을 올리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9면

△생체값은 낮아지고 판매가는 제자리=5일 농협중앙회 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4일 기준 600㎏ 큰암소 가격은 369만 7000원으로 전거래일보다는 0.7% 올랐지만 평년 525만 7000원과 비교하면 29.7%나 낮아졌다.

송아지의 경우 암송아지 4~5개월령은 69만 8000원으로 한달 새 20만 원 이상 생체값이 낮아졌고, 평년과 비교할 때는 절반 이상(59.5%) 가격이 떨어졌다. 같은 날 대전지역 대형 소매점에서 판매된 한우 등심 가격은 100g당 4640~7480원으로 전월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다.

식당 판매 가격을 보면 일부 부위는 오히려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날 둔산동의 한 한우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쇠고기 등심 1인분(150g)의 가격은 전월대비 1000원 상승한 3만 5000원의 가격표가 붙었다.

△중간상인만 이익보는 구조, 농민과 소비자는 죽을 맛=이처럼 소값 하락에도 불구, 판매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이유는 중간 유통구조를 여러번 걸치면서 생산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식당의 경우 도매상인으로부터 쇠고기를 공급받는데 이 도매상인 역시 농민부터 시작, 도축·가공업체를 이미 거친 상황이기 때문에 판매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둔산동의 한 한우전문점 업주는 “고기를 공급받는 과정에서 이미 1인분에 1만 5000원이 넘는 가격을 지불하는데 여기에 임대료, 인건비를 포함하다보면 마진은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그런데도 마치 식당들이 폭리를 취하기 위해 가격을 내리지 않는다고 몰아붙여 억울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축산농민들과 소비자들은 한우의 수집과 도축, 가공, 판매 등의 유통 단계에서 해당 업자들이 농가의 형편이나 시장수급 형편과 상관없이 자신의 이익만 과도하게 추구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의 한 축산농민 A(46) 씨는 “산지와 소매점 간 가격연동제가 이뤄져야 되는데 중간상인들이 소매점에 넘길 때 과도한 마진이 붙는다”며 “장사가 잘 되는 식당과 납품업체들은 농민이 죽어가고 있음에도 자신들의 배만 불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소비촉진보다 유통구조 개선 주장=이에 따라 축산농민들과 소비자들은 한우의 산지가격과 판매가격이 연동될 수 있도록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사육두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사료값은 오르고 농가수취가격은 줄어들게 돼 운영난을 겪고 있는 축산농민들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백석환 한국농업경영인대전시연합회장은 “정부에서 축산농을 위한 대책이 사육두수를 줄이고 소비자들에게는 소비를 해달라는 캠페인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유통구조가 개선되지 않으면 절대로 해결될 수 없는 일”이라며 “최근 소값 하락과 사료값 및 생산비 증가로 축산농민들이 빚에 허덕이고 있어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시 4~5년 내 지역 축산농민의 절반 가까이가 도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