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가에서 철새 정치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상민 의원에 이어 김창수 의원도 자유선진당을 탈당, 민주통합당으로 소속 정당을 옮겼다. 얼마 전에는 이용희 의원도 탈당했었다. 선거의 계절을 실감케 한다. 총선 100일을 앞두고 '정당 갈아타기'가 본격 개시된 셈이다. 그 이유로는 대개 정치적 소신이나 명분을 내세운다. ‘정치적 도의’ 따위는 뒷전으로 밀리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우리나라 정당이나 정치인을 막론하고 '이합집산(離合集散)'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정당이 민심이반 위기에 몰리면 으레 변화와 개혁의 일환으로 재창당 또는 합당·통합도 불문한다. 한나라당이 재창당 수준의 개혁 명분 아래 정당명칭 변경도 불사할 태세이고, 야당은 민주통합당으로 통합했다. 창당, 합당·통합, 해산에 이르는 흐름이 눈가림식 개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문제다. 건국 이래 적어도 3 김시대까지 '명망가(名望家) 정치' '지역기반 정치'에 의존해온 결과 특정인 취향에 따라 정당이 생성·소멸했던 탓도 있다.

정당이 그럴진대 정치인이라고 해서 별반 다르지 않다.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정당을 너무 쉽게 바꾼다. 이당 저당 바꾸며 자신의 정치 생명을 늘려온 정치인들이 어디 한 둘인가. 어느 당 간판을 달고 출마하는 게 유리한가를 따진다. '정당 쇼핑'이라고 지칭할만하다. 그런 장본인들이 탈당 의원들을 비난하는 게 오늘의 정치현실이기도 하다. 이를 지켜보는 유권자들의 심사가 썩 편할 리가 없다.

선거 때마다 여야 정당의 개혁공천 과정에서 탈락한 정치인들의 행보 또한 볼만하다. 군소정당 옷으로 금방 갈아입는 행렬이 줄을 잇는다. 군소정당에서 여야 공천 탈락자들을 대상으로 이른바 '이삭줍기 공천'으로 인재를 충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자부활전 방식에 대한 논란이 분분하지만 보기에 그리 떳떳하진 않다.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정치판 물갈이론이 힘을 얻고 있다. 본보 신년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현역의원 교체비율 응답이 59.6%로 집계됐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역대 초선비율을 보면 17대 62.5%, 18대 44.8%로 떨어졌지만 19대에선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정당 개혁의 초점은 인적 쇄신에 모아진다. 당적 변경이 개인의 정치적인 자유에 속하기는 하나 결국 심판은 유권자의 몫에 속한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