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기불황에도 올 한해 충북지역 경제는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 나갔다. 도내 무역수지는 35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기록했고, 국내 굴지 대기업들의 활발한 진출로 인한 지역경제의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는 충북이 중부권 물류중심 기지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한 해였다. 다만 고공행진을 거듭한 생활물가, 국제원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비 폭등은 서민들의 어깨를 무겁게 짓눌렀다.

올 한해 다사다난했던 지역경제계의 이슈들을 두 차례에 걸쳐 분야별로 살펴본다.

◆건설·부동산

올해 충북지역 건설업계 초미의 관심사는 단연 ‘세종시 사업’참여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기대와 달리 기존 법안에는 세종시 예정지역인 연기군과 공주시 등 충남 건설업체에만 지역제한 경쟁입찰 참가자격이 부여되면서 도내 건설업체들의 강한 반발을 야기했다. 이에 지난달 국회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대전·충북지역 건설업체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한 '행정도시 특별법 개정안'이 국토해양위 전체회의를 통과하면서 일정부분 도내 건설업계의 수주난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도내 건설업계는 그동안 어느때보다 힘든 나날을 보냈다.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공공공사 발주물량은 359건에 5411억 3800만 원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22억 1800만 원(25.2%) 감소했다. 이 같은 수주액 감소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폐업한 도내 건설 업체 수도 1년 사이 25개 업체에 달한다. 도내 시공능력 1위에 빛나는 원건설도 올 초 리비아 사태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다. 84년 역사를 자랑하는 임광토건(시공능력 40위)도 지난달 17일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부실여파로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다행히 지난 9월 리비아 내전사태가 모두 마무리되면서 원건설은 전후복구사업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고, 새 공사수주를 위한 프로젝트를 구상중이지만 지역 중견건설사를 포함한 중소건설사들의 경영난은 심각한 수준이다.
 
올해 도내 부동산 시장도 짙은 안갯속을 헤맸다. 건설시장 침체는 부동산 시장의 불황을 이끌었고, 이는 곧바로 집값 하락을 우려한 수요자들의 주택구매 부담으로 이어졌다. 결국 수요자들이 임대시장에 머무르면서 매매시장은 하락세를 보였고, 이와 반대로 전세시장은 늘어난 임대수요로 전세물건 부족과 전셋값 강세가 지속됐다. 실제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전세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충북(14.66%)은 광주(15.95%)에 이어 가장 높은 전세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융

연초부터 불어닥친 전국의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지역 금융계도 들썩였다.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를 시작으로 불붙기 시작한 일련의 저축은행 부실사태는 부산, 대전저축은행 등 7개 은행의 영업정지로까지 확대되며 전국적인 이슈의 중심에 섰다. 특히 지난 9월엔 업계 2, 3위의 대형사인 토마토저축은행과 제일저축은행까지 영업정지를 당하는 등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는 저축은행 관련 임원들의 사법처리에 2금융권 전반에 걸친 예금주들의 신뢰는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충북도내 근간을 두고 있는 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실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들 저축은행들은 다행히 금융당국의 부실저축은행 구조조정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예금주들의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추락으로 한 때 ‘뱅크런’현상을 보이며 그 어느해보다 힘든 시기를 보냈다. 여전히 추운 겨울을 나고 있는 도내 저축은행업계는 당초 저축은행 사태의 발단이 된 PF대출을 전면 억제하고, 이미 이뤄진 PF대출에 대한 회수를 끝마치는 등 다시 불어닥칠 수 있는 구조조정 바람에 대비해 은행 건전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특히 최근에는 지역향토저축은행인 하나로저축은행이 저축은행중앙회가 인수한지 1년 9개월여 만에 아주캐피탈로 매각되면서 지역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밖에 8월에는 가계빛 급증에 따른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방침에 일선 시중은행들이 신규 가계대출을 일부 중단하면서 혼란이 야기됐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농협 등 일선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 억제에 따른 대출자들의 발길이 2금융권과 대부업체 등으로 옮겨가면서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오히려 더욱 비싼 금리를 내고 급전을 융통할 수 밖에 없는 서민들의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