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은 민선 5기 출범 두 번째 해이면서 충북발전 도약의 기틀을 마련해야 했던 해였다. 국제적으로는 유럽발 금융위기, 유가파동과 국내적으로는 물가폭등, 경기침체 등 경제가 크게 위축됐다. 한미 FTA 발효를 앞둔 불안감도 있었다. 충북도 이러한 국내외적 환경에 영향을 받았다. 당장 지역의 핵심전략산업인 태양광산업이 타격을 입고 있다. 물가상승에 따른 서민 생활의 어려움도 이어지고 있다. 어느 해보다 어려웠던 2011년 한 해동안 있었던 각종 현안 등을 각 분야별로 살펴본다. /편집자


충북도정은 올 한 해 바이오와 태양산업, 지역균형발전에 심혈을 기울여 나름대로 성과를 거뒀다. 반면에 산적한 지역현안을 풀지 못한 채 해를 넘기면서 지역역량 결집 부족 지적도 받고 있다. 지역핵심전략산업의 두 축 중 하나인 바이오산업이 본격화됐다. 민선 5기는 오송바이오밸리 밑그림을 그렸다.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국가핵심연구시설 착공, 고려대의생명공학연구원,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핵심시설 착공 등 세계적 바이오메카를 위한 구상을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KTX오송역 개통 1년 만에 연간 이용객 100만 돌파, 청주국제공항의 전용화물기 취항, 북측진입로 개설, 활주로연장 타당성 조사, 천안~청주국제공항 간 전철 연장사업 등의 도정 성과가 있었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충청고속화도로 건설,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 내륙첨단산업벨트·백두대간벨트 기본 구상 확정으로 동부·남북부지역의 균형발전 계기를 마련했다. 전국 최초 초·중학생 전면 무상급식 실시, 전국 최초 중국인유학생 페스티벌 개최, 국내 최대 규모의 공판장 개설 등 획기적인 변화도 가져왔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지역관련 사업비 3조 6402억 원이 반영됐다. 정부의 신규사업 억제에도 불구 바이오산림휴양밸리 용역비 등 대단위 신규사업 30건에 2216억 원이 포함됐다. 정부예산에서 누락된 사업 58건 2393억 원의 국회 반영도 추진하고 있다. 이시종 지사는 올 하반기 동안 국가 예산 확보를 위해 진두지휘하면서 공무원들을 독려했다. 특히 이 지사는 국회 보건복지위 심의과정에서 누락됐던 오송첨복단지 연결도로 건설비 150억 원을 반영시켜 진가를 발휘했다.이처럼 충북도정이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기는 했으나 크고 작은 잡음과 일부 현안을 풀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초·중학교 무상급식과 관련해 도교육청, 기초자치단체와의 예산 부담비율로 갈등을 빚었다. 급식의 질적 저하 문제 개선 등의 과제도 남겼다. 충북문화재단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서 지역예술문화단체 간의 이견으로 진통을 겪으면서 재단을 출범시키지 못한 채 수 개월 낭비했다. 이 과정에서 도의 갈등 해소를 위한 조정자 역할 부재 지적을 받았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유치 공조 결과 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지정되면서 들러리였다는 지적도 받았다. 과학벨트 기본구상에서 기능지구 활성화 계획을 일부분 일궈내기는 했지만, 연구단 유치 등의 과제를 풀어야 한다.오송바이오밸리 구상 중 오송역세권 개발, 오송첨복단지 임상시험센터 역할을 할 국립암센터 분원 유치 등이 해를 넘기는 현안으로 남게 됐다. 대구와 첨복단지 조성 경쟁을 벌이면서 국립암센터 분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입지 논란에 휩싸였다. 이 두 국가기관은 지난 1997년 복지부가 오송 건립을 확정했으나, 대구가 유치를 주장하면서 오송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국립노화연구원도 부산, 광주가 유치에 나서 같은 운명에 있으나 결론을 못내 표류 중이다.

바이오와 지역핵심전략산업의 축을 이루고 있는 태양광산업이 유럽발 세계 경제위기로 위축됐다. 당분간 불황기를 겪을 것으로 보이는 태양광산업의 위기극복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밖에 세종시 편입에 따른 충북건설업체 참여 문제,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항공기정비센터 유치 문제 등도 쉽게 풀리지 않는 과제였다. 청주국제공항의 경우 민영화가 구체화되면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민선 4기 동안 활발했던 기업유치도 위축돼 내년 도정운영의 큰 과제로 남게 됐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