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안이한 대처 속에 충남도청 이전 후 원도심의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남도청 이전과 함께 심각한 인적·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는 광주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지만 대전은 도청이전 문제를 미온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4일 대전시와 광주시,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전남도청이 전남 무안으로 이전하면서 광주는 인구 감소에 땅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제의 악순환이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한때 호남정치의 1번지로 불렸던 광주 동구는 도청이 이전하면서 지난해 10월 말 현재 인구가 10만 2782명으로, 지난 1980년 21만 명에 비해 반토막이 됐다.

이처럼 광주가 도청이전 후 엄청난 후유증에 시달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구는 벌써부터 대책마련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대구는 오는 2014년 경북도청이 이전하게 되면 지역인구는 1만 4000여 명 가까이 줄고, 생산 및 부가가치 감소액도 각각 3000억 원과 1500억 원에 이르고, 취업 감소 인원도 4000여 명이 넘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청과 산하기관의 대규모 이전이 지역의 부동산 가치 하락, 인구 유출, 생산 감소 등을 초래할 것으로 보고, 국립 문화시설 복합단지로 개발한다는 청사진을 밝히고, 현재 국비확보에 지역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경북지역은 또 지역 간 경제 및 행정통합을 주장하며, 새로운 대안도 모색 중이다. 학계와 경제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통합추진 주체들은 행정구역 통합과 행정권역 광역화가 세계적인 추세인 점을 들어 대구·경북이 통합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수도권 확장, '대수도(大首都)론'에 맞서기 위해서도 대구·경북이 하나의 행정통합을 형성해야 정치·경제적 파워를 키워 수도권 집중화를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반면 대전은 충남도청 및 충남경찰청의 무상 양여 및 국비 지원을 통한 (가칭)한국문화예술창작복합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제시했지만, 이를 위한 행정·정치적 행보는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충남도청 이전부지 활용을 위한 자체 대안은 이미 마련돼 있으며, 국비 확보 등을 위해 전략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