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기업맞춤형 인턴제'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007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센터 내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청년 구직자가 지역 기업에 손 쉽게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청년층의 취업난과 지역 내 중소기업의 구인난에 숨통을 트이겠다는 즉,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하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생색내기에 급급한 취업알선으로 해마다 신청자 수는 줄어드는 데다 애매모호한 사업명칭에 혼선을 빚는 청년층 구직자들까지 발길을 돌리면서 사업지속 여부에 대한 의구심마저 일고 있다.

17일 충북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 따르면 2007년 상하반기로 나눠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던 인턴제 교육 프로그램은 2009년부터 구직자들의 수요가 급격히 줄면서 연 중 한 차례로 변경됐다.또 올해까지 기존 청년 구직자가 지역 기업에 취업했을 때 회사로 지원하던 80만 원의 인턴 지원금도 2012년부터는 70만 원으로 낮춰 책정됐다.

충북중기종합지원센터는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공기관 행정인턴 사업에서 월 지원금이 70만 원으로 책정된 데 따른 것으로 지원 폭 인하 배경을 설명했다.

기업맞춤형 인턴제는 사업시행 초기인 2007년 66명의 교육 신청자들 중 49명(74.2%)이 취업에 성공하면서 도 자체 프로그램 중 우수 사업으로 상을 받기도 했다.

2008년 역시 이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모두 95명의 신청자들 중 64명(67.3%)이 취업을 할 수 있게 됐다.그러나 2009년부터 대폭 감소한 교육 신청자 수는 3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 지난 3년 간 충북중기지원센터의 인턴제 교육 신청자 수는 2009년에 28명, 2010년 25명, 올해 30명이 고작이다.

이처럼 해마다 인턴제 교육 신청자 수가 줄어드는 데는 구직자들의 기호를 전혀 판단하지 못한 채 무조건적인 취업을 유도하는 시스템에 있다.이 사업을 통해 취업에 성공한 대부분의 청년 구직자들은 지역 내 중소제조업체로 취업하거나 열악한 근무환경, 개인적인 이유 등을 내세워 회사를 퇴사하고, 타 기관을 통한 인턴사업에 다시 문을 두드리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170시간에 걸친 인턴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효성까지 대두되고 있다.구직자 입장에서 선호하는 업종으로 가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 교육이 아닌 소양교육 프로그램만을 170시간에 걸쳐 받을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인턴제 참여를 위해 문의하는 일부 구직자들은 애매모호한 사업 명칭에 발길을 돌리고 있다.사업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 '기업맞춤형 인턴제'라 함은 구직자 입장에서 볼 때는 구직자가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선택, 이수했을 경우 관련 기업으로의 취업을 유도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맞춤형 인턴제는 기업의 수요에 맞는 청년 인력을 찾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받는 교육도 기업에서 희망하는 소양교육 수준이다.충북중기종합센터 관계자는 "취업을 한 후 해당 기업에 지속근무를 할 건지 여부는 전적으로 구직자 본인의 몫"이라며 “게다가 최근에는 일선 지자체와 행정안전부에서 직접 주관하는 공공기관 인턴제까지 계속 나오고 있어 구직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인턴제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을지 우려된다”며 "이를 개선키 위한 다각도의 논의가 필요한 상황에는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