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안전한 교통·보행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보행자 중심', '지역 맞춤형' 시설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를 위한 도로교통공단과 지자체, 경찰의 보다 긴밀한 공조가 요구되고 있다.

◆보행자 중심, 지역 균형적 시설보완

지역의 교통전문가들은 보행자 중심의 교통환경 구축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는 사실을 지목했다. 그간 차량소통에 집중된 교통정책에서 벗어나 교통약자인 보행자를 위한 교통여건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명수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주요 간선도로는 물론 생활도로인 주택가 이면도로의 도로환경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불법주차 등 수 많은 차량에 밀려 보행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시의 교통정책이 신규도로 개설 및 버스노선 조정 등 이른바 ‘눈에 보이는 정책’에 치우쳐 교통안전이 후순위로 밀린 것도 사실”이라며 “보행자를 위한 차선도색을 비롯한 라인마킹 등 사실상 보행환경 개선은 적은 예산 투입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신도심과 구도심 간 균형있는 시설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개진했다.

김 교수는 “서·유성구 등 새로운 택지개발 지역은 기본적인 교통인프라가 완비된 곳”이라며 “동·중·대덕구 등 원도심은 근본적으로 가로망이 열악할 수밖에 없다”고 구도심 교통환경에 대한 전반적 운영개선을 주문했다.

박원규 도로교통공단 연구원은 “한국의 교통정책이 차량위주로 진행된 것은 사실”이라며 “점진적으로 보행환경을 위한 정책적 변화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로교통공단, 지자체의 피드백(feedback) 절실

교통안전시설 보완과 관련한 도로교통공단과 대전시의 보다 밀착된 업무공조가 시급하다.

시설보완에 대한 양 기관의 적극적인 환류(feedback) 과정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기인한다.

이용일 도로교통공단 연구원은 “공단은 시설개선을 권고하고 설치 시점부터 효과 분석을 실시하지만 시설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피드백 과정이 미진한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또 “직접 사고다발지역 현장에 가보면 환경·구조적 이유로 시설개선이 어려운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도로교통공단의 적극적 역할이 아쉬운 대목이다.

결국 공단은 교통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안 제시와 함께 지자체의 시설개선에 대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시는 공단과 정보공유 및 자체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대한 신속·정확한 대처가 요구된다.

경찰 또한 차량과 보행자를 대상으로 하는 균형있는 단속, 무단횡단 근절 등 시민 교통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활동를 경주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끝>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