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왼쪽 두 번째)과 서남표 KAIST총장(왼쪽)이 14일 대덕특구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KAIST 부설 대전 과학영재학교 추진의사를 밝히고 있다. 신현종 기자 shj0000@cctoday.co.kr |
||
대전의 과학영재학교 유치 무산에 따른 지역 사회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한국과학메카인 대전의 위상 되찾기와 영재학교 대안 마련이 다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한국과학영재교육의 산실인 KAIST가 대전에 부설 과학영재학교(대전캠퍼스) 설치를 추진키로 하면서 대전의 과학영재학교 유치 노력은 다시 한 번 전환점을 맞게 됐다. 대전시교육청의 판단과 지역사회의 합의, 대정부 설득 작업 등 넘어야할 과제도 적잖다.
그러나 대전 지역 사회가 대덕특구와 카이스트등 풍부한 물적·인적 과학기술 인프라를 접목해 독자적인 영재교육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는 점은 성사 여부를 떠나 시사점이 크다.
서남표 KAIST 총장은 14일 기자회견을 통해 “대전이 하이테크 수도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다.
◆KAIST 부설 대전과학영재학교 전환 어떻게=현재 KAIST 부설 대전과학영재학교는 새로 신설하는 방안보다 대전과학고의 KAIST 부설화 방안이 유력해 보인다.
다만 대전과학고 관리감독권의 KAIST 전환에 대한 대전시교육청의 결정과 향후 정부의 판단이 변수로 남아있다.
또 일부 타 시·도의 저항이나 소모적 논란에 휩싸일 경우 추진 자체가 뒤로 늦춰지거나 불투명해질수도 있다.
대전과학고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영재학교로 전환할 경우 부산의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같은 운영체제를 갖추게 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대덕특구만의 풍부한 물적·인적 인프라를 활용할 경우 전국 최고의 과학영재학교로 자리매김은 분명하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여타 과학영재학교와 달리 대전은 바로 인접한 대덕특구와 KAIST의 교수진, 시설장비 등과 지리적 연계성이 매우 높아 명실상부한 과학영재교육이 가능하다.
◆전환시 무엇이 달라지나=대전과학고가 전환되는 부산 한국과학영재교와 같은 체제를 갖추게 된다면 관련법부터 학교운영, 학생선발, 예산회계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운영체제가 바뀐다.
현재 초·중등교육법의 적용을 받는 대전과학고는 한국과학기술원법과 영재교육진흥법의 영향력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감독 권한이 현 대전시교육감에서 카이스트 총장으로 이양되고 재정은 전액 국고를 통해 지원받게 된다.
또 학생들의 대부분은 결격사유가 없는 한 졸업 후 카이스트 입학이 보장된다.
따라서 기존 과학고와는 달리 대입준비에 몰입하지 않고 과학실험 및 탐구학습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중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무학년 선발 체제를 갖추게 된다.
◆재산귀속·KAIST입학정원 등 과제도 산적=대전과학고의 KAIST 부설화를 위해선 넘어야 할 산도 적잖다.
우선 KAIST 부설 대전과학영재학교 설치에 대한 대전시교육청과 정부의 판단 여부는 관심대상이다.
대전과학고가 KAIST 부설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기 위해선 대전시교육청은 관리감독권을 KAIST에 넘겨야 하며 이 과정에서 대전과학고 건물등에 대한 재산귀속에 대한 타협점을 봐야 하나 쉽지 많은 않다. 오는 3월 KAIST 부설로 개교 예정인 부산 과학영재학교의 경우 아직도 학교시설, 부지 및 소유재산등의 ‘국가 귀속 후 KAIST로 무상양여’를 마무리를 짓지 못하고 있다. 또 카이스트 입학정원도 확대해야 하는 등 관련법 개정도 병행돼야 한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