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난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키로 한 중촌공원 조성사업이 겉돌고 있다.
공원으로만 지정된채 20여 년간 방치됐던 이 지역에 대해 시는 지난해 말까지 리틀야구장과 생태숲 등을 포함한 도심공원을 조성키 위한 실시설계를 마칠 계획이였지만 현재 설계용역이 중단된 상태다.
또 전체 사업비 642억 원 중 토지보상비가 410억 원대에 이르러 국비 확보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12일 시에 따르면 중촌공원은 지난해 연말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한 뒤 연초 보상에 들어가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였지만 지난해 말 용역을 중지시켰다.
용역이 중단된 이유는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과 사전환경성검토, 사전재해성검토 등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철로 밑을 통과해야 하는 지하 보·차도 설치를 놓고도 철도시설관리공단과 마찰을 빚어오다 최근에서야 협의가 끝났다.
또 용역 수행업체인 서울의 D업체와 대전시가 수 천만 원에 이르는 사전환경성검토 비용 부담을 놓고 실랑이를 벌이면서 용역 과정이 매끄럽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663억 원을 들여 2011년까지 3년 안에 조성하겠다는 당초 지난해 대전시의 계획도 재원조달 문제 등으로 사업비는 20억 원가량이 줄었고, 기간은 2016년까지 5년 연장됐다.
시가 지난해 5월 발주한 설계용역도 공원 전체(10만 2480㎡)에 대한 설계가 아닌 1단계(전체 3단계) 1만 9470㎡에 국한된 것으로 올해 배정된 예산은 82억 원(국·시비 각각 50%)이다.
시는 내달 중 용역을 완료, 실시계획이 인가되는 대로 이르면 5월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토지보상 절차가 남아 있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토지주들의 높은 지가 매입 요구는 차치하더라도 최소 410억 원에 이르는 보상비는 현행법상 국비가 아닌 전액 시비로 부담돼야 한다.
시는 전체 사업비 642억 원 중 절반은 국비를 투입한다고 했지만 원칙적으로는 불가능하게 됐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공원으로만 지정된채 20여 년간 방치됐던 이 지역에 대해 시는 지난해 말까지 리틀야구장과 생태숲 등을 포함한 도심공원을 조성키 위한 실시설계를 마칠 계획이였지만 현재 설계용역이 중단된 상태다.
또 전체 사업비 642억 원 중 토지보상비가 410억 원대에 이르러 국비 확보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12일 시에 따르면 중촌공원은 지난해 연말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한 뒤 연초 보상에 들어가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였지만 지난해 말 용역을 중지시켰다.
용역이 중단된 이유는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과 사전환경성검토, 사전재해성검토 등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철로 밑을 통과해야 하는 지하 보·차도 설치를 놓고도 철도시설관리공단과 마찰을 빚어오다 최근에서야 협의가 끝났다.
또 용역 수행업체인 서울의 D업체와 대전시가 수 천만 원에 이르는 사전환경성검토 비용 부담을 놓고 실랑이를 벌이면서 용역 과정이 매끄럽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663억 원을 들여 2011년까지 3년 안에 조성하겠다는 당초 지난해 대전시의 계획도 재원조달 문제 등으로 사업비는 20억 원가량이 줄었고, 기간은 2016년까지 5년 연장됐다.
시가 지난해 5월 발주한 설계용역도 공원 전체(10만 2480㎡)에 대한 설계가 아닌 1단계(전체 3단계) 1만 9470㎡에 국한된 것으로 올해 배정된 예산은 82억 원(국·시비 각각 50%)이다.
시는 내달 중 용역을 완료, 실시계획이 인가되는 대로 이르면 5월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토지보상 절차가 남아 있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토지주들의 높은 지가 매입 요구는 차치하더라도 최소 410억 원에 이르는 보상비는 현행법상 국비가 아닌 전액 시비로 부담돼야 한다.
시는 전체 사업비 642억 원 중 절반은 국비를 투입한다고 했지만 원칙적으로는 불가능하게 됐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