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 사업을 국민모금 형태로 추진하자는 의견이 KAIST 로켓연구팀에 의해 제기돼 실현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1일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로켓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은 오는 2025년 달 탐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로드맵을 설정,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개발 사업비가 충족된다면 10년 정도를 앞당긴 2014년 정도에 착륙선을 달에 보낼 수 있다.
이 같은 가능성을 바탕으로 로켓연구팀은 예산 확보를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자 달 착륙선을 국민 모금 형태로 추진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해서는 총 5000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로켓연구팀은 예상하고 있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2000만 달러로 인도의 발사체를 이용하고 KAIST 가 보유한 달 착륙선 엔진의 업그레이드 비용 1000만 달러, 우주선 자체 개발비 1000만 달러, 전체 장비 테스트 비용 1000만 달러 등 최소한의 비용인 5000만 달러가 마련되면 착륙선을 달로 보내 로봇을 이용해 태극기를 꽂을 수 있다는 계획이다.
로켓연구팀 관계자는 “국민 모금 형태의 아이디어는 달 착륙선을 2014년에 보내야만 ‘국제 달 탐사 네트워크(ILN)’에 참여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나오게 됐다”며 “현재는 기술적으로 가능성을 타진한 만큼 연구개발 예산확보를 위한 아이디어만 나온 상황이다. 이를 현실로 옮기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11일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로켓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은 오는 2025년 달 탐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로드맵을 설정,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개발 사업비가 충족된다면 10년 정도를 앞당긴 2014년 정도에 착륙선을 달에 보낼 수 있다.
이 같은 가능성을 바탕으로 로켓연구팀은 예산 확보를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자 달 착륙선을 국민 모금 형태로 추진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해서는 총 5000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로켓연구팀은 예상하고 있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2000만 달러로 인도의 발사체를 이용하고 KAIST 가 보유한 달 착륙선 엔진의 업그레이드 비용 1000만 달러, 우주선 자체 개발비 1000만 달러, 전체 장비 테스트 비용 1000만 달러 등 최소한의 비용인 5000만 달러가 마련되면 착륙선을 달로 보내 로봇을 이용해 태극기를 꽂을 수 있다는 계획이다.
로켓연구팀 관계자는 “국민 모금 형태의 아이디어는 달 착륙선을 2014년에 보내야만 ‘국제 달 탐사 네트워크(ILN)’에 참여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나오게 됐다”며 “현재는 기술적으로 가능성을 타진한 만큼 연구개발 예산확보를 위한 아이디어만 나온 상황이다. 이를 현실로 옮기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