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10여 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이 공공기관이나 일부 대기업을 통한 판매에만 치우치고 있어 판매구조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기관을 통한 상품권 구매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기업체를 비롯해 단체, 개인 소비자들의 상품권 구매는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일부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급여의 일부를 상품권으로 지급받는 것과 관련, 굳이 상품권 구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에도 정부방침에 따라 일괄구매를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적잖다.

1일 충북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올 7월까지 전국에서 판매된 온누리상품권은 681억 7294만 원으로, 이미 지난해 판매실적(753억 3430만 원)의 90.4%를 달성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지난해 판매액을 넘어서는 것은 어렵지 않을 전망이다. 이 가운데 충북지역에서 올 7월까지 판매된 상품권은 모두 5억 8826만 원으로, 이는 전국 상품권 판매실적의 0.9%수준이다.

각 지자체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지역상품권의 영향으로 지난 7월까지 도내 상품권 판매의 경우 지난해(17억 5786만 원) 판매실적의 33.4%달성에 그쳤지만, 모든 전통시장 관련 상품권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통합사용하기로 함에 따라 도내 상품권 판매도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상품권 판매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지만, 공공기관의 구매를 통한 판매에 무게 중심이 쏠려 있다 보니 당초 취지는 빛이 바래고 있다.

대형할인점과의 경쟁에서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정부와 각지자체에서 우선적으로 상품권을 구매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이에 앞서 지역업체와 단체 등 일반 소비자들의 자발적 구매를 유도하는 일이 더 시급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편리한 쇼핑문화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시장을 찾는 분위기를 만들어 전통시장 활성화를 꾀하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소비자들로부터는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한 채 '공공기관의 선도적 구매'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만 '강요' 아닌 '강요'에 의해 상품권을 의무적으로 구입하고 있는 현실을 따져볼 때 전통시장 활성화는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뿐이다.

새마을금고연합회 충북도지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135개 새마을금고 영업점에서 판매한 온누리상품권은 11억 7000만 원으로, 이 중 4억 원가량(34%)의 상품권이 공공기관이나 공기업을 통한 판매다.

또 2004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공무원들의 급여 공제나 자율 구매 등을 통해 판매된 전통시장 상품권은 음성군이 67억 8055만 원, 괴산군이 53억 5820만 8000원, 보은군이 32억 5293만 5000원 등으로 모두 286억 2551만 2000원에 달한다.

상품권 발행 초기 소비자들의 활발한 구매 촉진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일정 부분 구매에 나서던 것이 이제는 의례적인 지원 사업이 되버린 셈이다. 이에 충북도와 각 지자체에서는 공공기관을 제외한 청주·오창산업단지에 있는 민간 차원의 일선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올 명절을 맞아 상품권을 이용해줄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오창산단 내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일부분이라고는 하지만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경우 상여금이나 급여 중 일부분을 상품권으로 지급한다면 반길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게다가 시장에서 장을 볼 때도 현금으로 구입하는 게 가격흥정에 더 용이해 더 싼 값으로 구매할 수 있는 데 굳이 상품권을 이용할 필요가 있겠냐"고 꼬집었다.

충북도 관계자는 "상품권 구매 등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추진 계획을 세워 산단 내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협조를 구하고 있지만 참여율은 저조하다"며 "이에 기업 CEO들과 정기적으로 자리를 갖고 상품권 구매와 전통시장 이용하기 등 꾸준히 민간차원의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