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삼옥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는 자타가 공인하는 비행기광이다.

오죽했으면 그 스스로도 ‘전생에 날짐승 아니었을까?’생각할 정도다.

구 박사와 비행기와의 인연은 보통 사람들이 기억하기도 어려운 유년기인 5살 때부터 시작됐다.

당시 경남 고성에 살던 그는 인근의 사천비행장에서 날아 올라 편대비행하던 비행기들을 넋 놓고 바라보곤 했다.

그렇게 비행기를 동경하던 ‘꼬마 구 박사’는 고무동력기와 당시 잡지 ‘학생과학’을 좋아하던 초등학교 시절을 지나 중학생이 되면서 본격적인 비행기 만들기에 도전했다.

중학생이 된 구 박사는 학생과학에 난 모형비행기 매장 광고를 보고 모은돈 ‘180원’을 쥐고 무작정 부산까지 갔다.

구 박사는 “돈이 턱 없이 모자라 완성 키트를 살 수 없었기 때문에 중고 엔진과 기체를 만들 발사목, 베니어합판 등을 사왔다”며 “재료가 모자라 집 뒷산의 오동나무까지 베어가며 비행기를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비행기광, 조종사 대신 과학자의 길로

학창시절 구 박사의 꿈은 당연히 공군사관학교에 진학해서 조종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력이 공사 입학 기준에 약간 미달했던 탓에 공군 조종사의 꿈을 포기해야 했다.

대신 그가 생각한 곳은 당시 국립대학으로 최고의 주가를 올리던 한국항공대학교로, 그는 1977년 1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항공기계공학과에 합격했다.

구 박사는 “학교에 활주로가 있고,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것을 보고 ‘천국이 따로 없구나’ 생각했다”며 “대학시절 사라졌던 모형비행기 동아리를 다시 결성하고 직접 비행기를 만들며 지냈다”고 말했다.

비행기 공부를 계속하고 싶었던 구 박사는 졸업 후 바로 한국과학원(현 KAIST) 항공과로 진학했다.

학비가 무료인데다 24시간 공부할 수 있는 캠퍼스 시스템이 무엇보다도 그의 맘에 들었다.

석사를 마친 그는 당시 경남 창원에 있는 한국기계연구소 항공기계실에 입사하면서 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

구 박사는 “그동안 돈이 없어 모형비행기를 못하다가, 일정 수입이 생기면서 비로소 제대로 된 모형비행기를 할 수 있어 기뻤다”고 말하며 미소지었다.

연구원 생활을 하던 그는 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항공우주연구소 창설 맴버로 조직 구성 작업에 참여했고, 1989년 대전에서 현판식을 가질 수 있었다.'

이후 연구소 추천으로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그는 당시 한·중 협력 사업인 ‘중급항공기’ 개발 계획에 참여해 설계를 담당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양국의 이견으로 1999년 중단됬고, 대신 우리나라는 이를 무인기로 축소 개발해 미완된 기술이라도 습득하게 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무인기 개발 그룹이 생겼고, 이는 무인기 ‘두루미’ 사업에 이어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무인기’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비행기를 만들려면 직접 날아봐야 한다

이 즈음 구 박사는 비행기를 더 잘 만들려면 실제 비행 계획을 세우고 직접 비행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절실하게 하고 있었다.

그 기회는 곧 찾아왔다.

2005년부터 1년간 미국 조지아텍 연구연가 시절, 구 박사는 자비를 들여 6개월 간 조종사 훈련을 받고 정식 면허증을 획득했다.

평생 비행을 동경하던 그였지만, 첫 비행의 소감은 뜻밖에도 ‘이 정도 갖고는 갈길이 멀구나’였다고….

구 박사는 “비행기를 만들려면 실제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환경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실제 비행기를 직접 타보니 교과서로만 보던 비행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그의 경험은 다른 항공 전문가들에게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고, 이후 몇몇 연구원과 교수들이 구 박사의 뒤를 이어 비행기 조종사 면허를 취득했다.

현재 구 박사는 항우연 스마트무인기개발사업단 무인체계팀장을 맡아 휴일도 없이 연구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무인기 전문가이자 항공기 조종사이기도 한 그의 꿈은 현재 자동차 운전 기술 수준으로 조종할 수 있는 비행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즉 자동차처럼 장소에 제약없이 이착륙하고 보관할 수 있고, 안전하게 하늘을 나는 것이다. 이것이 실현되려면 보다 많은 부분이 무인화 돼 현재 요구되는 복잡한 비행기술을 컴퓨터가 보완해줘야 한다.

구 박사는 “무인기의 자동화 기술과 기존 유인기의 비행 기술이 접목되면 일반인도 타고 다니는 비행기를 실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연구자들이 불모지에서 맨몸으로 시작한 기술들을 다듬어 쓸모있는 보석으로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