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서울과 강원지역의 산사태로 막대한 인명피해가 속출하면서 대전·충남 역시 붕괴 위험지역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올 여름은 대기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행정당국은 물론 위험지역 거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각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절개지는 모두 200여 곳이며 대덕구 이현동의 대청호 인근 야산은 산사태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지형적으로 산이 많은 충남도 역시 산사태나 제방붕괴 등으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141곳을 위험지역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다.
또 이 가운데 산사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산간마을도 10여 곳에 이른다.
이들 모두 폭우에 쏟아질 경우 붕괴될 가능성이 있는 곳이지만 관할당국은 ‘안전진단 결과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대부분 낮은 등급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지난 11일 대전에 내린 집중호우로 위험지역으로 분류되지 않은 중구 대사동의 한 연립주택이 인근 야산에서 흘러내린 토사로 주민 10여 명이 대피하고 적잖은 재산피해가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현 안전진단 평가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지난 28일 산사태로 15명이 사망하고 2명이 매몰되는 우면산은 서울시가 비교적 위험도 높은 지역으로 분류한 곳임에도 사전 경고나 대피 안내를 하지 않아 인명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마기간 중 지반이 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또 다시 폭우가 쏟아지면 흙과 흙 사이의 결속력이 약해져 무너져 내리기 쉽고, 택지 개발이나 도로 건설 등 무분별한 개발 행위로 생긴 인공 절개지 등은 산사태나 낙석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때문에 행정당국이 개발지역에 대한 붕괴 우려 가능성 등의 안전성 평가 방법을 강화하는 것을 비롯한 총체적인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최근까지 우기대비 위험지역에 대한 1차 점검을 마쳤으며 인근지역 주민과 이·통장들을 중심으로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호우 시 지속적인 순찰을 통해 붕괴위험 조짐이 있을 경우 신속한 대피명령 전파 등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
특히 올 여름은 대기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행정당국은 물론 위험지역 거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각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절개지는 모두 200여 곳이며 대덕구 이현동의 대청호 인근 야산은 산사태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지형적으로 산이 많은 충남도 역시 산사태나 제방붕괴 등으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141곳을 위험지역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다.
또 이 가운데 산사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산간마을도 10여 곳에 이른다.
이들 모두 폭우에 쏟아질 경우 붕괴될 가능성이 있는 곳이지만 관할당국은 ‘안전진단 결과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대부분 낮은 등급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지난 11일 대전에 내린 집중호우로 위험지역으로 분류되지 않은 중구 대사동의 한 연립주택이 인근 야산에서 흘러내린 토사로 주민 10여 명이 대피하고 적잖은 재산피해가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현 안전진단 평가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지난 28일 산사태로 15명이 사망하고 2명이 매몰되는 우면산은 서울시가 비교적 위험도 높은 지역으로 분류한 곳임에도 사전 경고나 대피 안내를 하지 않아 인명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마기간 중 지반이 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또 다시 폭우가 쏟아지면 흙과 흙 사이의 결속력이 약해져 무너져 내리기 쉽고, 택지 개발이나 도로 건설 등 무분별한 개발 행위로 생긴 인공 절개지 등은 산사태나 낙석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때문에 행정당국이 개발지역에 대한 붕괴 우려 가능성 등의 안전성 평가 방법을 강화하는 것을 비롯한 총체적인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최근까지 우기대비 위험지역에 대한 1차 점검을 마쳤으며 인근지역 주민과 이·통장들을 중심으로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호우 시 지속적인 순찰을 통해 붕괴위험 조짐이 있을 경우 신속한 대피명령 전파 등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