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최연도 결정에 시간이 남았지만 청주와 충주는 각각 전국체전(이하 대회) 주개최지를 희망하고 있다. 청주시와 충주시가 주개최지 희망을 원하는 이유는 대회 주개최지로 선정되면 막대한 국·도비가 투입되기 때문이다.

청주시와 충주시 입장에서는 노후화된 체육시설을 신축 또는 개축할 수 있는 데다 도시 전체를 리모델링 할 수 있는 기회다. 이와 함께 전국체전 주개최지로서 전국에 이름을 알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청주·충주 유치계획

시작은 충주시가 빨랐다. 충주시는 올해 초부터 전국체전 개최를 준비해 오고 있다.
충주시는 오는 2016년 대회 유치를 위해 준비 작업을 하고 있으며, 충북도에 공식입장을 전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충주시는 2016년이 충주시 승격 50주년임을 강조하고 있다. 충주시는 전국체전 유치를 위해 현 충주종합운동장의 주차장과 경기시설 여건이 매우 미흡한 점을 보완코자 66만㎡ 규모의 종합운동장 신설 대상 부지 몇 곳을 선정해 현장조사를 벌이는 등 심도 있게 검토하고 있다. 특히 내년 열리는 도민체전을 치른 후 나오는 문제점 등을 파악해 미리 보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유치 희망은 한발 늦었지만 구체적 계획은 청주시가 앞섰다. 청주시가 충북도에 제출한 유치희망서에 따르면 청주시는 청주시 외곽 지역 지역에 2500억 원(부지매입비 별도)을 들여 4만 석 규모의 종합운동장과 보조경기장 2면을 갖춘 1종 공인경기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또는 충북도·청원군과 협의해 청원군 지역에 종합스포츠타운을 건설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문제점

청주시는 대회 유치 필요성으로 청주·청원 통합 분위기 조성을 내세우고 있다.

또 충북체육계에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을 열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만한 자치단체는 통합시 밖에 없다는 논리도 내세우고 있다.

실제 많은 체육인들은 국비 지원이 가능한 대회 유치를 통해 종합스포츠타운이 조성되길 바라고 있다. 문제는 현재 진행 중인 청주·청원 통합의 향배에 있다.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충북도가 애초 희망한대로 2016년 대회 유치에 성공하고, 청주·청원이 통합돼 2014년에 출범한다면 준비기간은 2년에 불과하다.

현재 청주시는 종합운동장만 조성할 경우 청원군과 인접한 청주시 지역, 종합스포츠타운 건립시 청원군 지역을 염두에 두고 있다.

청주시에 종합운동장만 건립하는 것은 청주·청원통합분위기 조성에 반할 뿐더러 체육인들의 희망하고도 거리가 있다. 청주가 주개최지가 돼야 하는 당위성을 잃는 것이다. 청원군 지역에 종합스포츠타운을 건설하려 해도 누구도 통합을 장담할 수 없는 것이 문제다. 통합시 출범 후 종합스포츠타운을 조성하기에는 주어진 시간이 빠듯하다.

충주시도 문제는 많다. 우선 우건도 충주시장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28일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설상가상 지난 26일 인사비리 사건이 터졌다. 우 시장이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으면 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가게 된다. 권한대행 체제하의 충주시가 수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대회 유치에 나서기는 쉽지 않다.

종합운동장을 조성한다 해도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크다.

지난해 전국체전을 개최한 인구 30만 명의 경남 진주시는 연간 10억여 원의 유지·관리비가 소요되고 있다. 충주시는 종합운동장 유지·관리를 위해 연 단위로 전국 중·소규모 체육대회와 수익사업 유치 등 활용방안을 모색 중이지만 인구 21만 명의 충주시 재정 단위에서는 진퇴양난에 빠질 수도 있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최근 중소도시가 전국체전 주개최지로 선정되는 경향이 있지만 점차 국비지원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방재정에 무리가 따르는 부작용이 있다”며 “대회 후 경기장 활용방안을 중점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
 
심형식·충주=김지훈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