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에서 수시모집 지원횟수를 5회로 제한하는 방안에 대해 교육계 안팎에서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른바 '묻지마식 지원'에 따른 폐단과 과도한 전형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찬성 입장이 우세한 가운데 비수도권 지역 대학들의 지원율 하락 가능성을 제기하며 반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6일 발표한 201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시안에 따르면 수시모집에서 지원 횟수를 5회로 제한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는 학생의 적성과 소질과는 상관없이 무제한 지원이 가능해 수험생의 시간적, 경제적 낭비가 초래되고 학부모들의 전형료 부담을 줄여주자는 차원에서 교육당국이 개선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교협은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 대학입학전형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말까지 2013학년도 대입전형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당국의 수시모집 제한에 대해 일선 고교와 학부모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부모 박 모(48) 씨는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요행을 바라며 '일단 넣고 보자'는 무분별한 중복지원이 적지 않았다"며 "수험생 개인의 성적과 적성에 맞춰 학교와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입시제도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고3 담임을 맡고 있는 김 모(50) 씨는 "치열한 입시경쟁으로 10여 곳이 넘는 곳에 '보험성 지원'을 하는 경향이 매년 나타나 과도한 전형료 부담을 호소하는 학부모들이 적지 않았다"며 수시모집 지원 횟수 제한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수시모집에서 수험생 1인당 평균 지원 횟수는 최근 수년간 3~4회로 알려졌고, 2010학년도에는 무려 60회가 넘는 지원을 한 수험생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학들은 수시모집 지원 횟수 제한에 대해 수험생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냐며 반대하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또 학령인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수도권 대학들의 경우 수시모집을 제한할 경우 지원율 하락 가능성을 들어 우려하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지원 횟수를 제한할 경우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대학들의 지원율이 더욱 하락할 것"이라며 "어떤 방식으로든지 수험생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교육계에서는 그동안 중복지원으로 막대한 전형료 수입을 챙긴 대학들이 지원 횟수가 제한될 경우 수입 감소가 확실하다는 것도 반대 이유로 보고 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