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내달부터 전기요금이 평균 4.9% 인상된다. 지식경제부는 26일 주택용은 2.0%, 산업용과 일반용(상업용)은 2.3~6.3%의 전기요금을 인상하는 내용의 ‘전기요금 조정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시 4인가구(월평균 4만 원 기준)와 산업체(468만 원 기준)의 전기요금 부담이 월 평균 각각 800원, 28만 6000원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버스요금과 지하철요금이 인상된 데 이어 내달부터 전기요금이 인상되고, 오는 9월에는 도시가스 요금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휘발유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 접근했고, 꽃값을 비롯한 채소·과일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서민 가계가 휘청이고 있다.
△공공요금 인상 잡는다더니…‘줄줄이 인상’=이달 초 대전지역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이 15.8% 인상된데 이어 주택용 전기요금이 2.0% 올랐다. 여기에 하반기 중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원료비 연동제로 결정되는 도시가스 도매요금을 7~8월 동결해, 가스공사 미수금이 784억 원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9월 이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자체 및 업계는 대전지역 도시가스 요금에 2.9%의 인상요인이 발생했다며 인상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 지역 소비자들은 공공요금 인상을 억누르겠다는 정부 정책에 역행하는 지방공공요금 상승 현상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하고 있다.
△공공요금 3분기엔 동결…올 4분기 인상될 듯=정부는 11개 중앙공공요금 중 전기료를 제외하고 인상이 필요한 것은 2~3개 정도라며 시기를 분산시키기 위해 올 3분기까지는 동결시킬 계획임을 밝혔다.
중앙 공공요금은 전기요금 외에 도시가스(도매), 우편, 철도, 시외버스, 고속버스, 도로통행, 국제항공(인가노선), 광역 상수도, 통신, 유료방송수신 등이다. 이 중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는 요금은 가스와 우편, 도로통행 등 3개 정도다.
정부가 지난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적자가 누적된 요금'으로 현실화 가능성을 예시했던 철도와 도로통행료 가운데 도로통행료만 인상 방침이 확정됐다.
정부는 도로통행료는 차등요금제 체계를 개편하면서 오는 9~10월께 일부 인상요인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도요금 인상 여부는 물가 여건을 보면서 결정하기로 함에 따라 보류됐고, 우편 등 나머지 공공요금도 물가 상황에 따라 3분기까지는 대부분 동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휘발유 가격 사상최고치 접근, 소비자물가도 위험=26일 오후 6시 기준 서울지역 휘발유 가격은 ℓ당 2026.23원으로 전날보다 0.59원 낮아졌지만 사상 최고치인 2027.79원에 1원 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긴 장마로 인한 일조량 부족으로 꽃값의 인상폭도 커지고 있다. 여기에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 축산물가격 강세와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더욱 심화된 채소·과일가격의 상승세가 장기화되고 있어 서민 가계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