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의회 박정현 의원(비례)이 26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여성고용 현황과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모색 토론회’를 주최했다. 대전시의회 제공  
 
안정적인 고용 조건 속에서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를 높이기 위해선 지방정부 차원의 ‘여성고용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시의회 박정현 의원(비례)이 26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주최한 ‘여성고용 현황과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모색 토론회’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여성의 경제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를 지방정부의 정책과 관심을 꼽았다.

박 의원은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여성인구 중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비율은 대전이 17%로 타 광역시에 비해 가장 높지만,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0년 기준 47.2%로 전국평균 49.4%보다 낮고 실업률은 3.6%로 전국평균 3.1%보다 높은 편”이라며 “여성고용에 대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은경 박사(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는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은 여성의 고용조건과 직접적 연관관계가 있다”라며 “여성의 안정적 일자리 창출, 아동보육의 사회적 지원강화, 정부재정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종인 한밭대 교수(경영학과)는 “대전지역 여성 가구주가 2000년 18.5%에서 2010년 23.1%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2009년 현재 기초생활수급자 여성은 2만 5868명으로 남성 1만 9801명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며 “여성의 안정적인 일자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난희 노무사(노무법인 강산)는 “취업률이 낮은 지방자치단체를 보면 지역 고용주체와 유기적인 관계가 없었다”며 “지역 고용주체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지역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고용 거버넌스를 구성해 고용의 규모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복경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충남지회 부회장은 “고용주 입장에서 볼 때 여성의 출산으로 인해 3개월 동안 업무공백은 회사가 부담이 된다”라면서 “여성의 취업문제는 가정, 회사 그리고 여성 모두 3박자가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노동 대전발전연구원 인적자원개발센터장은 “여성의 일자리를 무한정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실질적인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후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모델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여러 가지 정책대안 중 중앙정부 차원의 대응은 국회의원을 통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며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과제는 의회 여성의원들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추진하도록 하겠다”며 “여성이라는 이름으로 더 이상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