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 논란에 휘말린 국립노화연구원에 대해 보건복지부가 처음부터 충북 오송 건립을 추진하고 있었던 사실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 후 가동된 대통령인수위 회신공문에서 확인됐다.
본보가 최근 입수한 2008년 1월 22일 자 국립노화연구소(현재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유치 대선공약 관련 대통령인수위 의견에 대한 회신공문에서 보건복지부는 “오송생명과학단지에 부지를 매입해 노화연구소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후 대통령인수위는 대선공약 중 광주·전남지역의 국립노화연구소 설립에 대한 대선공약 이행을 위해 보건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 대통령의 대선공약은 “고령화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광주·전남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살려 장수, 노화 원인 규명과 진료기술 및 연구개발 등을 위한 노화연구소를 설립해 실버산업의 메카로 육성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대통령인수위 의견에 대한 회신공문에서 “노화·고령화 분야 연구개발의 종합적 기획, 조정 및 관리와 체계적 연구를 수행해 국민 전체의 건강 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국책연구기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제, “이에 오송생명과학단지 국책기관 이전부지에 연구지원시설 용지 4만 9578㎡의 부지 확보 후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 심사 중에 있다”며 국립노화연구소의 오송 건립이 추진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 보건복지부는 “국내 노화·고령화 관련 연구는 총괄·조정하는 부서가 없이 각 부처별 필요에 의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고령화 특성에 맞는 체계적이며, 효과적 대응이 가능한 다학제간 협력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보건복지부는 “현실적으로 노화예방, 노인성질환, 사회행동과학, 재활·요양, 정책 등의 연구내용을 민간이 종합적인 체계성을 가지고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연구의 기획·조정에서부터 결과의 확산에 이르기까지 국책연구기관이 총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우리 부에서는 연구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관련 국책기관 및 연구기관과 연계가 용이한 오송생명과학단지에 부지를 매입해 노화연구소 설립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혀 복지부가 지난 2007년 실시된 대선에 앞서 국립노화연구소를 오송에 설립하기 위해 부지를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당시 국립노화연구소 설립에 따른 대선공약관련 대통령인수위 의견에 대한 회신공문 내용에 대해 모르겠다”며 “다만 현 시점은 국립노화연구원 건립을 위한 관련법이 국회에 계류 중에 있어 이 문제부터 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송에 건립될 국립노화연구원은 부산과 대구가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서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지만, 현재 국회에 관련법이 계류돼 있어 추진이 안 되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