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KIT)의 제3차 매각이 불발로 끝나면서 민영화 중단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21일 전국공공연구노조(이하 연구노조)에 따르면 제3차 안전성평가연구소 매각은 단 1개 업체가 입찰을 시도했고, 이마저도 마감 시간 이후에 접수되면서 유찰됐다.
앞서 지난 1~2차 입찰에서는 제안서 접수가 아예 없어 무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연구노조는 이번 민영화가 오로지 지식경제부의 실적 쌓기를 위한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라며 더 이상의 매각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연구노조측은 “정부가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를 핑계로 CRO(임상시험대행) 사업과 전혀 무관한 사모펀드를 인수적격자로 선정해 입찰제안서를 접수하게 했고, 입찰제안서 마감 시간 이후까지 접수를 받는 행태를 보였다”면서 “이는 정부가 주장하는 국내 CRO 산업 성장을 위한 안전성평가연구소 민간 매각이라는 원래 목적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계속된 민영화 시도로 국내 CRO 산업을 이끌어 갈 연구 현장은 피폐화됐고, 유능한 연구자들이 현장을 떠나고 있다”면서 “정부가 4차 민간 매각을 추진한다면 국민감사 청구와 국정감사 의제화 등을 비롯한 저지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연구노조측은 덧붙였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