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청주시청에서 열리는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에서 청주청원시내버스요금단일화가 논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그 비용이 얼마나 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 이종윤 청원군수는 청원군 읍·면 소재지까지 단일요금과 현재 기본요금 구간에서 30분인 환승 시간을 1시간으로 연장하는 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청주시가 이 안을 수용하게 된다면 청원군 읍·면 소재지 주민들은 시내버스 기본요금만으로 청주에서 일을 본 후 거주지로 돌아갈 수 있다. 지금 버스 요금의 ⅓~¼까지 줄어드는 것이다.

청원군민으로서는 파격적인 혜택이지만 그늘도 있다. 막대한 재정지원금의 증액이 예상된다. 현재 청주시는 운영손실 지원 23억 원과 환승보조금 61억 원 등 84억 원, 청원군은 운영손실 지원 34억 7000만 원을 시내버스회사에 지원하고 있다. 양 시·군의 지원금만 118억 7000만 원이다. 여기에 시내버스 단일요금제와 환승 시간 연장이 이뤄지면 지원금은 더욱 늘어난다.

현 상황에서 지원금이 얼마나 늘어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정확한 비용은 용역 결과가 나와야 하지만 청주시와 청원군이 각각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를 대비해 자체조사한 내용은 약 35억 원이나 차이가 난다.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이뤄지면 청주시는 약 91억 원, 청원군은 55억여 원의 추가 재정부담이 생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더해 환승시간 연장에 따른 지원금 증액을 고려하면 최소 70억 원에서 최대 120억 원의 추가 부담 비용이 생길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현재 양 시·군의 재정지원금과 더하면 매년 200여억 원의 세금이 투입돼야 한다. 청주시와 청원군의 재정상황에서는 부담스런 금액이다.

그럼에도 시내버스요금단일화는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특히 청주·청원통합에 대한 청주시의 진정성을 보여 줄 수 있는 기회라는 얘기가 청주시청 내부에서도 흘러나오고 있다. 청주·청원통합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는 청원군 내부의 반발기류를 잠재울 기회도 될 수 있다.
 
지난 민선 4기 통합 논의 과정에서 청원군민에게 약속된 내용 중 군민들의 가장 큰 호응을 얻은 것이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공약이다. 가시화된다면 청원군민들의 의견은 통합 쪽으로 급속하게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청원군의 한 지역인사는 “양 시·군의 재정상 부담스럽겠지만 수혜자가 학생과 노인층임을 고려하면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는 복지비용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며 “무엇보다 청주청원통합의 분수령이 되고 양 지역의 상생발전에 따를 성장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도의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오는 10월부터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지만, 아직 충북도의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청주·청원 통합운동에 앞장서 온 청주시 사회단체 관계자는 “이 지사가 사안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도의 재정적 지원이 없다면 생색내기로만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