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제자유구역에서 오송1산단, 오창 등 일부 지구가 제외되는 등 전면적인 수정 보안작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김종록 충북도정무부지사는 21일 기자회견을 갖고 “지식경제부에서 열린 제43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민간전문가 평가단은 오송1산업단지와 오창2산업단지의 분양률이 각각 88.7%, 77%에 달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실효성이 없다는 내용의 충북경제자유구역 평가 결과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 3월 15일 제출한 오창BIT융합지구, 오송바이오밸리, 청주국제공항 항공정비복합지구, 청주테크노폴리스, 증평그린IT전문단지, 충주에코폴리스 등 4개 시·군 6개 지구 25.95㎢를 경제자유구역 예정지구로 하는 내용의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수정안'에 대한 평가단의 각 지구별 평가결과를 공개했다.
청주테크노폴리스는 “입지는 좋지만, 사유지가 많아 수익성이 낮고 개발을 위한 PF(프로젝트파이낸싱)가 어렵다”고 평가했다. 오송바이오밸리는 오송1산단은 88.7%가 분양이 완료됐고, 외국인 투자를 위한 용지공급 곤란, 오송역세권은 외국의료기관 유치 법적요건 미비 등이 지적됐다.
오창 BIT지구(오창2산단)는 분양률이 77%에 이르고, 산업용지는 이미 분양이 완료돼 부적합하다고 지적했고, 청주국제공항 항공정비복합지구는 '사유지 비중이 높고 지구지형 상 향후 확장이 어려운 부지조건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증평그린IT전문단지는 “구체적인 외국인투자계획이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 충주에코폴리스는 개발계획 내용이 미흡하고, 친환경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평가단은 현재의 개발계획으로는 경제자유구역의 기본취지 및 지정요건에 부합하지 않다는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안에 대한 평가를 내렸다. 다만, 개발컨셉 및 내용조정, 부적합 지구의 제척 및 면적 조정 등을 통해 발전 가능성과 재원조달이 가능한 일부 지구에 한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을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오송1산단과 오창2산단을 충북경제자유구역에서 제외하는 등 평가단이 지적한 지구별 문제점을 보완해 10월경 지식경제부에 제출하기로 했다.
또 도는 지역국회의원들에게 국회에 계류 중인 관련법안 국회 통과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평가단 평가결과 지적된 문제점 해결을 위한 도정정책 자문단 전략회의를 열어 문제점을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