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는 ‘뛰고’, 소주는 ‘걷고’, 맥주는 ‘기었다’.

18일 국세청이 발표한 ‘2010년 주류 출고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주류 출고량은 343만 4000㎘로 전년(333만 3000㎘)보다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종별로는 막걸리 출고량이 41만 2000㎘로 2009년(26만 ㎘)보다 무려 58.1% 증가했고, ‘국민 대중주’ 소주는 93만 1000㎘로 전년(93만㎘)에 비해 0.7% 증가에 그쳤다.

반면 맥주 출고량은 지난해 찜통더위에도 불구하고 195만 7000㎘로 전년(200만 3000㎘)보다 오히려 2.3% 감소했다.

특히 막걸리는 전체적인 주류소비량 정체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 전체 주류 출고량의 12%를 차지하며 지난 1995년 10% 이하로 떨어진 이후 16년 만에 10%대 점유율을 회복했다.

막걸리는 또 일본과 미국 등 수출량이 1만 9407㎘로 전년(697

8㎘)에 비해 무려 178.1% 증가하며 우리나라 대표술로 자리매김했다.

이와 함께 소주는 알코올 도수 19도 이하 저도주 출고량이 3만 4413㎘로 1년 전보다 2배나 늘어 알코올 도수가 낮은 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주 수출량은 8만 1543㎘로 2.9% 증가했는데 국가별 비중은 일본(81%), 미국(8.7%), 중국(4.3%) 순이었다. 이밖에 맥주 수출량은 6만 5944㎘은 15.9% 늘었으며, 주로 홍콩(47.3%), 몽골(16.3%) 등으로 주로 수출됐다.

한편 주류 수입은 11만 2000㎘로 8.5% 증가했으며 맥주(14.5

%), 위스키(6.3%), 와인 등 과실주(8.8%), 일본 청주(32.4%) 등의 수입증가율이 높았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