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외국인투자지역(이하 외투지역)까지 해제돼 외자유치에 차질이 예상되면서 오송의 세계적 바이오메카 조성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14일 지식경제부 외국인투자유치위원회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외국인투자지역 30만 1760㎡을 해제했다. 첨복단지 지정고시 이전에는 외투지역이 생산시설 건립을 주 용도로 하고 있는 반면 첨복단지는 연구시설(연구소) 건립을 주 용도로 하고 있어 외투지역과 첨복단지는 양립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오송첨복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외국연구시설, 교육기관, 병원 등의 유치가 어렵게 됐다.
외투지역 해제와 함께 충북경제자유구역에 오송 포함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지식경제부의 경제자유구역 민간평가단은 종합평가의견에서 "4개 신청지역 모두 경제자유구역 지정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간평가단은 "부적합지역의 제척과 개발면적, 개발계획의 조정 등 일정한 조건하에 재원조달 및 조기개발 가능성이 확보되는 일부 지역에 한해 추가지정을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지식경제부 경제자유구역 민간평가단의 평가에 대한 지역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오송지역 포함은 회의적이다. 충북도가 신청한 충북경제자유구역 3개 시·군 6개 지구 가운데 청주국제공항과 충주를 제외한 청주 테크노폴리스, 증평 그린IT전문단지, 오창 2산업단지, 오송1산업단지의 제외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이시종 지사도 지난 15일 청원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오창2단지와 오송1단지는 기업이 많이 들어와 있어 경제자유구역에서 제척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며 “대신 오송2단지 등이 지정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외투지역 해제에 이어 경제자유구역 지정까지 불투명해지면서 오송첨복단지 성공적 조성을 위한 우수한 외국연구시설 등 외자유치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은 항공기정비단지 등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오송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외자유치가 핵심이다. 특히 대구와 경쟁 관계에 있는 오송첨복단지의 경우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6대 국책기관 등 국내 보건의료기관과 관련 산업체가 밀집돼 있지만, 국내외 우수한 R&D 시설 유치가 시급하다. 오송바이오밸리 성공적 조성을 위해 외자 유치가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오송첨복단지 외투지역 지정 해제 이후에 대안 마련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오송첨복단지 내 외투지역 해제에 따라 제2 오송산단 등 대체부지의 외투지역 지정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대체부지를 통해 외국자본 유치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오송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