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분양아파트의 정확한 계약률을 알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하다. 현재 분양률은 공신력있는 온라인 청약시스템으로 일원화돼 과거와 같은 건설사들의 분양률 조작은 없어진 반면 계약률은 여전히 건설사 분양소장과 고위 관계자만 아는 1급비밀로 분류되며, 수요자의 알권리를 철저히 차단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1만 세대 정도의 신규 분양시장이 열려 과다경쟁에 따른 계약률 부풀리기로 선의의 피해자들이 양산될 수 있어 건설사의 계약률 허위신고 시 제재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다.
현재 수요자들이 신규분양아파트의 초기 계약률을 파악할 수 있는 길은 건설사의 발표와 해당 지자체에 제출하는 미분양 자료 등 2가지 뿐이다. 이 가운데 건설사 발표는 불문률로 불리며 건설사들이 공개를 꺼리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만약 공개 시 분양소장이 내뱉는 계약률이 곧 실제 계약률로 인식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 해당 지자체에 제출하는 미분양 자료 역시 정확한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아닌 건설사 측에서 미분양 갯수만 달랑 적어 보내는 원시적인 방법으로 진행돼 지자체 공무원들 조차도 확신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 구청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내놓은 미분양 자료와 실제 미분양 세대와 큰 차이가 나 민원인으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한다”며 “구청에서는 건설사로부터 정확한 미분양 자료를 보내달라는 협조 요청만 할 뿐 정확한 미분양 세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초기 계약률보다 입주시점 계약률이 높을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그 반대의 경우 계약자와 건설사간 큰 마찰을 빚어 피해자들이 양산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실제 지난 2009년 6월 대덕테크노밸리 내 A 아파트의 초기 계약률을 건설사 측이 50%로 발표했다가 입주당시 실제 계약률은 30%에 미치지 못하는 사실이 밝혀져 재산권에 피해를 입은 계약자들의 집단반발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 도안신도시 내 B아파트의 경우도 건설사 측이 3세대 미분양을 제외한 99%의 계약률로 발표했으나 입주시점에 대량의 미분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큰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러한 계약률 부풀리기는 건설사 측이 미분양 물건을 소진시키는 마케팅 방법으로 악용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던져주고 있다.
계약률이 높다는 점을 내세워 수요층의 조급증을 유발하고 선호도가 낮은 저층을 우선판 뒤 나머지 물량까지 급속도로 소진시키겠다는 건설사 측의 전략으로 통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와 맞물려 미분양 소진이 안될 경우 계약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천만하다는게 부동산 업계의 중론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사들의 판매전략으로 계약률 뻥튀기는 고전적인 수법이 된지 오래”라며 “현재로서는 정확한 계약률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수요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특히 올 하반기에는 1만 세대 정도의 신규 분양시장이 열려 과다경쟁에 따른 계약률 부풀리기로 선의의 피해자들이 양산될 수 있어 건설사의 계약률 허위신고 시 제재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다.
현재 수요자들이 신규분양아파트의 초기 계약률을 파악할 수 있는 길은 건설사의 발표와 해당 지자체에 제출하는 미분양 자료 등 2가지 뿐이다. 이 가운데 건설사 발표는 불문률로 불리며 건설사들이 공개를 꺼리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만약 공개 시 분양소장이 내뱉는 계약률이 곧 실제 계약률로 인식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 해당 지자체에 제출하는 미분양 자료 역시 정확한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아닌 건설사 측에서 미분양 갯수만 달랑 적어 보내는 원시적인 방법으로 진행돼 지자체 공무원들 조차도 확신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 구청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내놓은 미분양 자료와 실제 미분양 세대와 큰 차이가 나 민원인으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한다”며 “구청에서는 건설사로부터 정확한 미분양 자료를 보내달라는 협조 요청만 할 뿐 정확한 미분양 세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초기 계약률보다 입주시점 계약률이 높을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그 반대의 경우 계약자와 건설사간 큰 마찰을 빚어 피해자들이 양산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실제 지난 2009년 6월 대덕테크노밸리 내 A 아파트의 초기 계약률을 건설사 측이 50%로 발표했다가 입주당시 실제 계약률은 30%에 미치지 못하는 사실이 밝혀져 재산권에 피해를 입은 계약자들의 집단반발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 도안신도시 내 B아파트의 경우도 건설사 측이 3세대 미분양을 제외한 99%의 계약률로 발표했으나 입주시점에 대량의 미분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큰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러한 계약률 부풀리기는 건설사 측이 미분양 물건을 소진시키는 마케팅 방법으로 악용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던져주고 있다.
계약률이 높다는 점을 내세워 수요층의 조급증을 유발하고 선호도가 낮은 저층을 우선판 뒤 나머지 물량까지 급속도로 소진시키겠다는 건설사 측의 전략으로 통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와 맞물려 미분양 소진이 안될 경우 계약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천만하다는게 부동산 업계의 중론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사들의 판매전략으로 계약률 뻥튀기는 고전적인 수법이 된지 오래”라며 “현재로서는 정확한 계약률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수요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