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염 시장은 이날 오전 시청에서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별 직장교육을 갖고, “시장부터 관행화된 특권을 과감히 버리고, 공정사회를 선도할 것이며, 더불어 공직자들도 잘못된 관행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 시장의 이번 특별 교육은 지난해 민선5기 출범이후 무상급식부터 최근의 도시철도 2호선까지 핵심 현안사업과 관련, 담당 실·국장을 비롯 공직자들의 소극적인 대응과 미숙한 업무처리를 질타한 동시에 향후 조직·인사운영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염 시장은 “실·국장 책임경영제 운영이 잘 안 된다”며 “외부에서 실·국장들의 평가를 들어 보면, 현실안주적 성향이 강하고, 문제발생 시 지나치게 시장에게 의존하거나 떠넘기는 등 업무에 대한 열정과 지역에 대한 애정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도시철도 2호선 등 논란이 되고 있는 현안사업과 관련해서는 “특정집단이나 단체가 현안사업 등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며 “앞으로 '출장브리핑제'를 운영하거나 ‘끝장토론’ 등을 통해 이해를 도모하는 성의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사업계획 단계부터 갈등의 발생 개연성을 사전 분석·평가하는 '주요정책 갈등영향평가제도' △정책입안 초기단계부터 시민의견이 반영되는 '민·관협치' △각종 민원에 대한 답변 시한 명시 △갈등이나 논란이 되었던 사업에 대한 '사례연구(Case Study)' 작성 등의 도입을 지시했다.
인사와 관련해서는 “연공은 물론 능력, 아이디어 등을 종합평가하는 '근평 서열'을 중시하겠다”며 “기피부서 등에서 열심히 일한 직원들에 대한 발탁인사도 병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7~9급 신규공채자를 무조건 자치구로 보내는 관행에 대해서도 "수백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들어온 우수한 자원들을 무조건 구(동사무소)로 보낸 후 3~5년 지난 뒤 다시 시청으로 오게 되면 능력 퇴보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시정에 대한 이해와 협조 마인드가 부족해 질 수 있다”며 일정기간 이상 시 본청에서 근무토록 한 후 자치구로 보내는 등 제도적 변화를 예고했다.
염 시장은 이날 “제시된 변화 과제도 고쳐야 한다면 다시 고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작지만 소중한 변화로 새바람을 일으켜 보자”고 당부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