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부족으로 충청권을 비롯한 우리 나라의 생태계가 멍들어 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충남발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생물다양성 국내외 현황 및 확보 방안’을 통해 각종 자연보호지역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과 갯벌·서식지의 황폐화가 심각하다고 진단하고, 지금부터라도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충발연은 일단 생물다양성지수를 인용해 우리 나라의 생태계 보전 현실을 지적했다.
200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생물다양성지수에 따르면 우리 나라의 종합 순위는 122위로 모두 3만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9만여 종의 생물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30위), 8만여 종을 보유한 영국(66위) 등 선진국을 쫓아가려면 아직 멀었다는 게 충발연의 설명이다.
특히 충발연은 생태계 유지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갯벌의 감소에 주목했다.
1987년 3203㎢였던 갯벌이 10년 뒤 2393㎢로 25%나 감소했다.
충남의 경우도 당진 석문·대호지구, 서산 AB지구, 홍성·보령 홍보지구 등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갯벌면적이 434㎢에서 304㎢로 30% 감소해 그만큼 생태환경이 훼손됐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비현실적인 각종 보호지역 지정·운영 문제도 도마위에 올렸다.
충발연은 ‘정부는 충남 태안 두웅습지·서천갯벌 등 20개 습지보호지역과 충남 보령 소황사구, 태안 신두리사구 등 32개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지만 국제적 기준과 서식 규모를 고려할 때 각종 보호구역 수가 너무 적고 현재 지정된 보호구역에 대해서도 여전히 체계적인 보전·관리계획이 추진되지 않아 운영면에서 실효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국가나 지자체가 각종 보호구역 내에서 개발사업을 추진할 경우 보호구역 지정이 해제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특히 도요류의 국내 최대 도래지인 금강하구나 멸종위기 조류의 국내 최대 월동·서식지인 천수만 등은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지역이지만 각종 개발사업에 밀려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만큼, 보호가 필요한 지역이 개발논리에 밀리지 않고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강력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게 충발연의 판단이다.
충발연 정옥식 책임연구원은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우리 나라의 노력은 걸음마단계에 있다”며 “각종 보호구역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매입·보상 재원을 획기적으로 마련해야 하고 지자체 차원에서 동전의 양면처럼 대립하는 개발과 보전의 논리를 조율할 통합협의체를 시급히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충남발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생물다양성 국내외 현황 및 확보 방안’을 통해 각종 자연보호지역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과 갯벌·서식지의 황폐화가 심각하다고 진단하고, 지금부터라도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충발연은 일단 생물다양성지수를 인용해 우리 나라의 생태계 보전 현실을 지적했다.
200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생물다양성지수에 따르면 우리 나라의 종합 순위는 122위로 모두 3만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9만여 종의 생물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30위), 8만여 종을 보유한 영국(66위) 등 선진국을 쫓아가려면 아직 멀었다는 게 충발연의 설명이다.
특히 충발연은 생태계 유지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갯벌의 감소에 주목했다.
1987년 3203㎢였던 갯벌이 10년 뒤 2393㎢로 25%나 감소했다.
충남의 경우도 당진 석문·대호지구, 서산 AB지구, 홍성·보령 홍보지구 등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갯벌면적이 434㎢에서 304㎢로 30% 감소해 그만큼 생태환경이 훼손됐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비현실적인 각종 보호지역 지정·운영 문제도 도마위에 올렸다.
충발연은 ‘정부는 충남 태안 두웅습지·서천갯벌 등 20개 습지보호지역과 충남 보령 소황사구, 태안 신두리사구 등 32개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지만 국제적 기준과 서식 규모를 고려할 때 각종 보호구역 수가 너무 적고 현재 지정된 보호구역에 대해서도 여전히 체계적인 보전·관리계획이 추진되지 않아 운영면에서 실효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국가나 지자체가 각종 보호구역 내에서 개발사업을 추진할 경우 보호구역 지정이 해제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특히 도요류의 국내 최대 도래지인 금강하구나 멸종위기 조류의 국내 최대 월동·서식지인 천수만 등은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지역이지만 각종 개발사업에 밀려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만큼, 보호가 필요한 지역이 개발논리에 밀리지 않고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강력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게 충발연의 판단이다.
충발연 정옥식 책임연구원은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우리 나라의 노력은 걸음마단계에 있다”며 “각종 보호구역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매입·보상 재원을 획기적으로 마련해야 하고 지자체 차원에서 동전의 양면처럼 대립하는 개발과 보전의 논리를 조율할 통합협의체를 시급히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