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쉼터(쉼터)교사 및 직원들이 위기 청소년으로부터 폭행을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폭력예방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13일 손숙미 한나라당 의원(보건복지위·여성가족위)이 여성가족부에서 제출받은 '2011 가출청소년과 청소년쉼터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쉼터에서 일하는 교사 및 직원 10명 중 7명은 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에게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이용 청소년의 교사 폭행 횟수는 최근 3년 새 2배 이상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특히 폭력 성향이 '잔인성'을 띠고 있는데도 교사들의 제지는 뒤따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쉼터 이용자들은 교사를 밀치는 것은 기본이고 팔, 다리, 허리 등 격한 신체접촉은 물론, 성기를 노출하거나 칼을 휘두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는 것이 쉼터 교사들의 전언이다.
실제 지난해 보호관찰법 위반으로 천안 소재 한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배 모(20) 군은 예정보다 일찍 소년원을 퇴소한 뒤 쉼터에서 생활했지만 교사들과의 마찰로 칼을 휘두르며, 교사들을 위협하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 지역 한 쉼터에서는 학생 간 폭력 사건으로 병원에 입원치료를 받는 불미스런 일이 발생해 말썽을 빚기도 했다.
해당 쉼터 한 여교사는 "쉼터 동기생들과 음주를 하고 새벽에 쉼터로 복귀한 학생에게 훈계를 하던 중 칼을 들고 실무자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며 "위협적인 상황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사들이 제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어, 학생이 진정되기만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폭력 대응 매뉴얼 개발은 물론 교육, 보안시스템 강화, 인근 지구대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역 쉼터 관계자는 "현재 쉼터에 지원되는 예산은 대부분 인건비나 운영비로 지출된다"며 "인력 충원 및 폭력 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추가 예산 확보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쉼터 동기생들 끼리 쉼터 퇴소 후 강력 범죄 등을 저지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청소년 쉼터는 가출청소년의 보호 및 지원을 위한 가출청소년 전문기관으로 일시, 단기, 장기보호기관이 있으며, 대전과 충남지역에 각각 6개의 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13일 손숙미 한나라당 의원(보건복지위·여성가족위)이 여성가족부에서 제출받은 '2011 가출청소년과 청소년쉼터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쉼터에서 일하는 교사 및 직원 10명 중 7명은 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에게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이용 청소년의 교사 폭행 횟수는 최근 3년 새 2배 이상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특히 폭력 성향이 '잔인성'을 띠고 있는데도 교사들의 제지는 뒤따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쉼터 이용자들은 교사를 밀치는 것은 기본이고 팔, 다리, 허리 등 격한 신체접촉은 물론, 성기를 노출하거나 칼을 휘두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는 것이 쉼터 교사들의 전언이다.
실제 지난해 보호관찰법 위반으로 천안 소재 한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배 모(20) 군은 예정보다 일찍 소년원을 퇴소한 뒤 쉼터에서 생활했지만 교사들과의 마찰로 칼을 휘두르며, 교사들을 위협하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 지역 한 쉼터에서는 학생 간 폭력 사건으로 병원에 입원치료를 받는 불미스런 일이 발생해 말썽을 빚기도 했다.
해당 쉼터 한 여교사는 "쉼터 동기생들과 음주를 하고 새벽에 쉼터로 복귀한 학생에게 훈계를 하던 중 칼을 들고 실무자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며 "위협적인 상황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사들이 제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어, 학생이 진정되기만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폭력 대응 매뉴얼 개발은 물론 교육, 보안시스템 강화, 인근 지구대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역 쉼터 관계자는 "현재 쉼터에 지원되는 예산은 대부분 인건비나 운영비로 지출된다"며 "인력 충원 및 폭력 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추가 예산 확보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쉼터 동기생들 끼리 쉼터 퇴소 후 강력 범죄 등을 저지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청소년 쉼터는 가출청소년의 보호 및 지원을 위한 가출청소년 전문기관으로 일시, 단기, 장기보호기관이 있으며, 대전과 충남지역에 각각 6개의 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