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에서 건설경기가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 도안신도시가 오히려 전문건설업계의 무덤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각각의 입찰자들이 입찰을 하면서 가격을 써내면 그중에 제일 적은 금액을 선택하는 제도인 ‘최저가입찰제’가 전문건설업체들의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
12일 지역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도안신도시에 들어서는 아파트 건설공사 등에 전문건설업체들이 최저입찰제 방식으로 공사금액을 적게 들여 공사권을 따내면서 공사를 진행하던 도중에 업체들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최저가입찰제로 참여하더라도 자본력이 탄탄하거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선 무리한 입찰은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 골조공사를 맡았던 I건설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최근 부도처리됐다.
도안신도시에서 각각 창호와 석공공사를 맡았던 U건설사와 H건설사도 공사를 하면 할수록 자금압박에 시달려 문을 닫았다.
도안신도시 상가건물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하고 있는 K건설의 경우 현재 자금난에 시달리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반적인 건설경기 악화로 공사수주에 목말라 있던 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은 하반기 8000세대와 상가건물 등이 쏟아질 도안신도시의 각종 공사하청을 따내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막상 공사를 수주한 뒤에 오는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공사실적을 쌓기 위해 최저가로 마구잡이식 수주를 하기도 하지만, 이는 결국 업체 간 과당경쟁을 불러오고 덤핑입찰로 인한 적자시공은 결국 부실시공과 고용감소로 이어져 심각한 수준을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의 유명 중견건설업체의 아파트 공사에 참여한 영세 하청업체들도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최소 10곳 정도가 폐업을 하거나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원·하도급과 자재·장비업체 모두 경영이 악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업계에선 정부가 현재 300억 원 이상인 최저가낙찰대상을 내년부터 1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키로 방침을 정하고 있는 최저가낙찰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주로 관급공사 수주 시 적용하는 최저가낙찰제와 일반 공사의 최저입찰제는 지역 중소건설사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부실시공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지금보다 더 확대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전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도안신도시에 참여한 전문건설업체들이 자금부족으로 부도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업체들의 부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각각의 입찰자들이 입찰을 하면서 가격을 써내면 그중에 제일 적은 금액을 선택하는 제도인 ‘최저가입찰제’가 전문건설업체들의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
12일 지역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도안신도시에 들어서는 아파트 건설공사 등에 전문건설업체들이 최저입찰제 방식으로 공사금액을 적게 들여 공사권을 따내면서 공사를 진행하던 도중에 업체들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최저가입찰제로 참여하더라도 자본력이 탄탄하거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선 무리한 입찰은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 골조공사를 맡았던 I건설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최근 부도처리됐다.
도안신도시에서 각각 창호와 석공공사를 맡았던 U건설사와 H건설사도 공사를 하면 할수록 자금압박에 시달려 문을 닫았다.
도안신도시 상가건물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하고 있는 K건설의 경우 현재 자금난에 시달리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반적인 건설경기 악화로 공사수주에 목말라 있던 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은 하반기 8000세대와 상가건물 등이 쏟아질 도안신도시의 각종 공사하청을 따내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막상 공사를 수주한 뒤에 오는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공사실적을 쌓기 위해 최저가로 마구잡이식 수주를 하기도 하지만, 이는 결국 업체 간 과당경쟁을 불러오고 덤핑입찰로 인한 적자시공은 결국 부실시공과 고용감소로 이어져 심각한 수준을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의 유명 중견건설업체의 아파트 공사에 참여한 영세 하청업체들도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최소 10곳 정도가 폐업을 하거나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원·하도급과 자재·장비업체 모두 경영이 악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업계에선 정부가 현재 300억 원 이상인 최저가낙찰대상을 내년부터 1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키로 방침을 정하고 있는 최저가낙찰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주로 관급공사 수주 시 적용하는 최저가낙찰제와 일반 공사의 최저입찰제는 지역 중소건설사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부실시공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지금보다 더 확대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전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도안신도시에 참여한 전문건설업체들이 자금부족으로 부도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업체들의 부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