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는 12일 제196회 1차 정례회 2차 본회의를 열고, 대전시와 시교육청의 현안 문제에 대한 시정질문을 벌였다.
시정질문에 나선 황웅상 의원(서구4)은 세종시 건설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지구) 지정 등의 여건 변화에 대한 대비방안과 ‘대한민국의 신 중심도시 대전’으로 부상하기 위한 대전시의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시각장애인인 이영옥 의원(비례)은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장애는 홀로 있을 때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인과 함께 있을 때 비로소 고통의 모습을 드러낸다”면서 현장에서 만난 청각장애인의 극한 목소리를 동영상으로 전하며 대전시의 장애인 정책 개선을 제안했다.
또 최진동 의원(교육4)은 “대전시는 2003년부터 2005년에 매입해 이미 설립된 23개교에 대한 408여억 원이 아직 전출되지 않고 있다”라며 대전시의 학교용지부담금 미전입금 문제와 학교 추가 신설 문제 등을 집중 질의했다.
답변에 나선 염홍철 대전시장은 ‘대한민국의 신 중심도시 대전’ 전략으로 “대전발전연구원과 합동으로 TF를 구성해 8대 분야 33개 전략과제를 발굴해서 추진 중”이라며 “2015년까지 대전~세종~오송간, 유성~세종시간 광역 교통망 BRT를 조성하고, 대전 경제에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대동·금탄지구를 조기 개발해 산업 용지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염 시장은 또 이영옥 의원의 질문과 관련, 동감을 표하고 △2014년까지 동구청사 부지에 건립 예정인 ‘청소년종합수련관’에 청각장애인복지관을 함께 건립하는 방안 검토 △수화통역사를 5개구별로 1~2명씩 연차적으로 증원 △5개구 장애인센터내 상담인력을 보강 등을 약속했다.
이밖에 학교용지부담금 미전입금에 대해선 “2014년부터 연차적으로 분담하겠다”고 밝혔다.
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은 “저출산에 따른 학생 수 감소추세가 사실이나 계속된 도시개발로 학생수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지어야 한다”라며 “과학적인 학교수용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