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기능지구에 입지할 10개의 연구단을 놓고 충청권 3개 기능지구의 경합이 예상되는 가운데 충북이 몇 개의 연구단을 유치할지 주목된다.

충북도에 따르면 과학벨트 기능지구인 청원군 오송·오창, 세종시, 천안시가 10개의 외부연구단 유치 신청을 위한 준비 작업을 벌이고 있다. 과학벨트의 핵심시설 중 하나인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단 50개 중 본원에 15개, 대구·울산·포항 10개, 광주 5개의 연구단을 제외한 외부연구단 10개를 놓고 기능지구로 지정된 지역 간의 유치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도는 2~3개의 연구단 유치를 목표로 지역 대학, 관련 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단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에 들어설 연구단은 해당 지자체가 연구인력, 행정인력 등 55명으로 구성된 연구단을 설립해 올 하반기에 출범할 기초과학연구원에 신청, 심의를 거친 후 입지가 결정된다.

도는 BT, IT, 태양광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단을 구성한다는 목표 아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캠퍼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캠퍼스 등 지역소재 연구원과 충북대로부터 참여를 이끌어냈다.

또 도는 건국대, 충주대 등을 대상으로 연구단에 참여해줄 것을 요청하는 등 우수한 연구인력 확보를 통해 연구단 유치 경쟁력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도는 정부가 내년 중에 25개 연구단을 가동시킬 예정에 있는 만큼 올 연말까지 연구단을 구성해 기초과학연구원에 유치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농산업·의학 등 바이오 분야와 IT, 태양광분야까지 충북의 주력 핵심산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단을 꾸리고 있다”며 “공모로 입지를 결정하는 만큼 기능지구로 지정된 지역 간 연구단 유치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며, 고급인적자원 확보와 연구실적이 입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도는 과학벨트 기능지구를 '산업화 지구'로 변경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이는 과학벨트의 기능지구가 연구 결과를 산업화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기능지구보다 산업화지구가 적절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이밖에 도는 오는 14일 출범할 과학벨트 성공적 추진을 위한 '충청권 상생발전 태스크포스(TF)팀'을 통해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 개정 등 제도적인 보완작업도 벌일 계획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