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증평군이 최근 대규모 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퇴임을 1년여 남겨둔 사무관에 대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공로연수파견근무 발령(이하 공로연수)을 내려 물의를 빚고 있다.
증평군은 지난 8일 발표한 11일자 인사에서 5급과 6급 각 1명을 공로연수 시키고 5급(사무관) 승진 1명, 6급 승진 5명, 7급 승진 8명, 8급 승진 14명, 기능직 6명 등 모두 34명을 승진시켰으며 공무원 29명과 청원경찰 2명을 각각 전보하는 등 67명의 인사를 단행했다.
그러나 이번 인사에서 증평군은 지방행정사무관 A 씨를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공로연수, 당사자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게 됐다.
A 씨는 "지난 5월 13일 행정과에서 공로연수 및 명예퇴직 신청서를 보내왔으나 이를 제출하지 않았는데 공로연수 압력과 종용을 받았다"며 "이는 법으로 보장돼 있는 공무원의 신분을 무시한 것이다"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A 씨는 또한 "즉시 충북도에 소청을 제기할 것이며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고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A 씨는 유명호 군수 시절 증평지방산업단지 조성에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지난해 초까지 군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민선 5기 홍성열 군수 취임 후 주요 보직에서 벗어나 근무해왔다.
최근 홍성열 군수와 만나 퇴직 후 거취에 대해 상의했으나 이렇다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증평군 관계자는 "그동안 증평군에서는 퇴임을 1년여 앞둔 시점이 되면 공로연수를 신청해왔다"며 "법적 소송을 한다면 군에서도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A 씨와 증평군과의 대립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군 공무원은 "후배 공무원들을 위해서는 A 씨가 용단을 내릴 필요가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본인이 신청도 하지 않았는데 공로연수 발령을 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또 다른 공무원 B 씨도 "군수가 바뀌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요직에 있는 간부들이 한직으로 밀려나는 것"이라며 "후배를 위한 배려도 필요하지만 퇴임을 얼마 남기지 않은 공무원을 강제로 밀어내는 듯한 인상을 준다면 공직사회에 대한 회의를 갖게 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곽승영기자 focus5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