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을 앞두고 최대 변수 중 하나인 야권 연대가 민주당을 비롯한 야 4당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야권 연대는 지난 지방선거, 재보궐 선거에서 실제로 위력을 발휘한 바 있는데 ‘대통합’, ‘소통합’ 등 통합 방식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성사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민주당은 지난 4일 야권 통합 특위를 출범시키고 10일에는 이인영 특위 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야 4당 연석회의’를 제안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손학규 대표도 지난 8일 새벽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통합특위 첫 회의에 참석하는 등 열의를 보이고 있다.
손 대표는 “야권 통합의 마지막 충분조건은 민주당의 희생이 될 것”이라며 야 3당에 ‘통 큰 양보’ 가능성도 열어 둬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은 한나라당 신임지도부의 ‘친서민 행보’에 맞서 ‘야권 연대를 통한 야권 통합’을 화두로 내세워 지지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오는 9월 추석 이전 통합진보정당 창당을 목표로 하는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각각 수임기관(협상기구)을 발족, 통합 실무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노당은 내달 당 대회를 열어 통합진보정당의 당명과 강령, 당헌 등을 포함한 합의안을 마련키로 했다.
진보신당은 수임기관 내에 13인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와 당원사업단, 전략협상단, 대외협력단을 두도록 하는 등 조직 체계와 인선을 완료했다.
국민참여당도 이날 서울 금천구청에서 전국중앙위원회를 열어 유시민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추진기구를 발족하는 등 진보정당 통합에 나섰다. 참여당은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를 아예 내지 않고 비례대표 후보만 공천하겠다며 배수의 진을 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이다. 참여당의 이런 방침에는 민노당에 통합을 압박하기 위한 포석도 깔렸다는 게 야권의 대체적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대담집 ‘미래의 진보’를 함께 펴낸 참여당 유 대표와 민노당 이정희 대표가 오는 14일 출판기념회를 할 예정이어서 논의 진전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야권 연대는 지난 지방선거, 재보궐 선거에서 실제로 위력을 발휘한 바 있는데 ‘대통합’, ‘소통합’ 등 통합 방식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성사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민주당은 지난 4일 야권 통합 특위를 출범시키고 10일에는 이인영 특위 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야 4당 연석회의’를 제안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손학규 대표도 지난 8일 새벽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통합특위 첫 회의에 참석하는 등 열의를 보이고 있다.
손 대표는 “야권 통합의 마지막 충분조건은 민주당의 희생이 될 것”이라며 야 3당에 ‘통 큰 양보’ 가능성도 열어 둬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은 한나라당 신임지도부의 ‘친서민 행보’에 맞서 ‘야권 연대를 통한 야권 통합’을 화두로 내세워 지지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오는 9월 추석 이전 통합진보정당 창당을 목표로 하는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각각 수임기관(협상기구)을 발족, 통합 실무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노당은 내달 당 대회를 열어 통합진보정당의 당명과 강령, 당헌 등을 포함한 합의안을 마련키로 했다.
진보신당은 수임기관 내에 13인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와 당원사업단, 전략협상단, 대외협력단을 두도록 하는 등 조직 체계와 인선을 완료했다.
국민참여당도 이날 서울 금천구청에서 전국중앙위원회를 열어 유시민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추진기구를 발족하는 등 진보정당 통합에 나섰다. 참여당은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를 아예 내지 않고 비례대표 후보만 공천하겠다며 배수의 진을 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이다. 참여당의 이런 방침에는 민노당에 통합을 압박하기 위한 포석도 깔렸다는 게 야권의 대체적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대담집 ‘미래의 진보’를 함께 펴낸 참여당 유 대표와 민노당 이정희 대표가 오는 14일 출판기념회를 할 예정이어서 논의 진전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