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대전 도안신도시의 행정구역 경계조정이 지역의 장기적인 발전전략 및 주민들의 행정 편의보다는 지자체 간 야합으로 졸속 처리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대전시에 따르면 그동안 논란이 됐던 도안신도시 내 행정구역 경계는 ‘갑천↔목원대’ 구간은 동서대로를, ‘계백로↔호남고속도로’ 구간은 계백로를 기준으로 각각 조정돼 이달 말 행정안전부에 ‘구(區)간 경계변경 건의서’가 제출된다.

이번 경계조정으로 서구에서 유성구로 21가구·51명이 이동하고, 유성구에서 4가구·9명이 서구로 편입되며, 행정구역 면적은 유성구의 5만 6858㎡가 서구로 조정됐다.

그러나 동서대로에서 계백로에 이르는 도안신도시 내 미개발지역은 대로나 하천 등의 명확한 기준이 아닌 기존 경계선을 유지키로 한 이번 행정구역 경계조정으로 도안신도시 및 서남부 2~3단계 개발 예정지역 내 주민을 포함, 서구와 유성구 등 지자체 간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는 앞으로 ‘도안대로’가 직선으로 관통될 예정이며, 서남부 2~3단계 개발 및 ‘도시 2030 기본계획’ 수립 시 서·유성구 간 경계 재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왕복 10차로인 도안대로가 완공될 경우 도안신도시의 생활권은 이 도로를 중심으로 동-서로 양분될 것으로 보여 주민들은 이원화된 행정구역과 생활권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수년 뒤 행정구역 경계 조정을 다시 논의할 경우 기관·주민 간 반발은 물론 행정력 낭비도 불가피해 이번 조정안이 임시방편적인 미봉책에 그쳤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문제는 지난 2008년부터 행정구역 경계조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3년 이상 기간이 소요됐으며, 그 과정에서 서구와 유성구 등의 지자체들은 인구, 지방세 등 직접적인 이해관계에 함몰, 양보 없는 대립각을 세웠으며, 일부 주민들도 재산가치 하락 등을 이유로 대안 없는 반대로 일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중재 역할에 나서야 할 대전시도 기관·주민 간 대립에 방관자적 자세로 일관했으며, 지역 정치권도 선거구 증설 등의 원론적인 주장에는 동조했지만 정작 합리적인 중재안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도안대로를 중심으로 경계를 재조정하는 안이 최선이지만 지역 간 견해차가 커 현재의 조정안을 만드는 일도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