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등록금’ 논란으로 촉발돼 대학들의 등록금 인하 유도를 위한 감사원의 고강도 대학 감사가 본격화됐다.
특히 대전과 충남·충북지역 일부 대학들도 이번 감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감사원은 당초 예고대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전국 국·공·사립대 30곳을 표본으로 대학 교육 재정 운용 실태에 대한 예비조사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대학 재정 운용과 부실대학 관리에 중점을 두고 이뤄지는 이번 감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합동으로 205명의 감사인력이 투입된다.
감사원은 감사 대상 대학의 재정 분석과 수입·지출 행태와 경영 및 학사관리 부실대학의 운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부실대학 관리 정책이 내실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감사원은 이번 예비조사 결과와 전체 대학에 대한 종합적인 서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달 중 300명의 감사 인력을 대거 투입해 본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감사원은 예비조사 대학 선정과 관련 전체 30곳 중 15곳은 최근 등록금 인상률이 높거나 재정 건전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대학으로 선정했다.
이 중 12곳은 사립대로 등록금 인상률과 적립금 비율, 법정부담금 부담 비율 등 등록금 관련 지표와 내부 회계 간 전출액 등 재정건전성 관련 지표를 고려해 선정했다.
나머지 3곳은 국·공립대로 교과부의 기성회계 평가지표를 고려해 정했다.
감사원은 또 교과부의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선정을 위한 평가결과 등을 감안해 경영과 학사관리 등에서 부실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 15곳의 대학도 예비조사 대상에 포함했다.
감사원은 이번 예비조사에서 비교, 분석을 위해 재정이 건전한 대학도 포함했고, 종합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시점에서 대학 명단을 공개할 경우 자칫 문제있는 대학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학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전과 충남·충북에 소재한 일부 대학들이 이번 감사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고 감사 대상 여부를 놓고 각종 소문까지 나도는 등 대학들은 초긴장 상태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 별로 행여 감사 대상에 포함될까 우려돼 자체적으로 점검을 하는 등 그동안 철저한 준비를 해왔다”며 “감사 여부를 떠나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