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과 관련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일방적인 주장에 대해 해명자료를 배포하는 등 강력 대응키로 했다.

5일 시에 따르면 최근 도시철도 2호선 노선과 기종 등이 확정되면서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은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의 획기적인 재정비·보완 △건설비용의 축소 의혹 △고가 건설에 따른 민원 발생 등의 문제점을 이유로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의 백지화 또는 전면 보류를 요구하고 있다.

시 고위 관계자는 이날 “최근 도시철도 2호선 사업과 관련 마타도어식의 주장이 지역에서 난무하고 있다”며 “대부분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많아 일일이 해명하지 않았지만 이런 주장들이 시민들에게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어 해명과 사실 확인 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밝혔다.

우선 ‘시내버스 등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의 재정비 또는 보완을 통해 도시철도 2호선을 건설하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에 대해 “대중교통 경쟁력 제고의 핵심 중 하나는 ‘속도’로, 교통수요가 많은 구간은 기상과 노면교통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도시철도를 공급해 승용차보다 빠르게 간선기능을 수행시켜야 한다”고 시 측은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도안신도시에서 첫 도입되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성과를 분석, 지역에 확대 시행하고, 세종시와 대전시를 잇는 광역BRT를 오는 2015년까지 도입하는 등 도시철도 네트워크를 보완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와 BRT를 병행,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도시철도 2호선의 건설 사업비가 축소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도시철도 사업의 비용 추정(산정) 방식은 기획재정부의 ‘표준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세부공종별 표준공사비를 적용, 산정한다”면서 “도시철도 사업비는 도시여건(터널, 교량통과, 지하차도, 정거장 수 등)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어 타 지자체와의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고 해명했다.

‘노면전차 도입을 검토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노면전차를 선택할 경우 차로잠식에 의한 도로교통 혼잡이 불가피하고, 대형 교통사고가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또 ‘자기부상열차의 고가구조물에 의한 경관문제 및 사생활 침해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자기부상열차의 고가구조물은 경관을 고려해 슬림하게 제작키로 했으며, 실제 폭은 5.95m에 불과하다”며 “각 차량에 자동흐림장치를 설치, 사생활 침해 문제를 완전 차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일각에서 대구나 용인 등의 사례를 들며, 고가 경전철이 '도심 속 흉물'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자기부상열차는 소음이나 진동·분진이 적고, 슬래브 없는 구조물로 디자인도 우수하다”며 “타 시·도의 경관 우수사례를 적극 도입하고, 보완·개선해 세계 최고 수준의 도시철도를 건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