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올해 지방재정 조기집행 평가결과 전국 2위를 차지함에 따라 수십억 원대의 인센티브 획득과 함께 향후 국비확보에 이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방재정 조기집행은 지난 2008년부터 체감경기 활성화를 위해 실시됐으며, 특히 상반기가 하반기보다 낮은 성장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는 우수 자치단체에 대한 인센티브 수여 등 적극적인 재정 조기집행을 유도해 왔다.
4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조기집행 대상 예산 8조 1652억 원 가운데 5조 77억 원을 6월 말까지 집행했으며, 집행 목표 4조 6868억 원의 106.8%로 전국 2위 수준이다.
전국적으로는 강원도가 110.7%로 1위를 차지했으며, 충남도에 이어 충북도가 3위(105.2%), 경북도(103.0%)가 4위를 각각 기록했다.
도내 시·군별로는 가장 높은 집행률을 기록한 당진군 120.3%(2442억 원)에 이어 계룡시 112.8%(434억 원), 보령시 109.9%(2097억 원) 등 7개 시·군이 목표를 초과했으며, 연기군(85.5%), 서천군(81.3%), 논산시(79.4%) 등 9개 시·군이 목표에 미달됐다.
도는 지난 3월 말 중간평가에서 11억 원의 인센티브를 획득한데 이어 이번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로부터 수십억 원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받을 예정이다.
또 이번 실적이 정부 시책을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아 올 하반기 내년도 국비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분석했다.
도는 서민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인 효과가 큰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일자리사업, 서민생활안정사업 등을 중심으로 재정을 조기 집행했으며, 도청 신청사 건축에 가장 많은 재정이 조기 투입됐다.
박범인 도 예산담당관은 “조기집행을 포기할 경우 재정의 70% 정도가 하반기에 집행돼 상반기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작용할 우려가 있어 강행했다”며 “조기집행에 동참한 시·군에 대해서도 자체 평가를 통해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지방재정 조기집행은 지난 2008년부터 체감경기 활성화를 위해 실시됐으며, 특히 상반기가 하반기보다 낮은 성장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는 우수 자치단체에 대한 인센티브 수여 등 적극적인 재정 조기집행을 유도해 왔다.
4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조기집행 대상 예산 8조 1652억 원 가운데 5조 77억 원을 6월 말까지 집행했으며, 집행 목표 4조 6868억 원의 106.8%로 전국 2위 수준이다.
전국적으로는 강원도가 110.7%로 1위를 차지했으며, 충남도에 이어 충북도가 3위(105.2%), 경북도(103.0%)가 4위를 각각 기록했다.
도내 시·군별로는 가장 높은 집행률을 기록한 당진군 120.3%(2442억 원)에 이어 계룡시 112.8%(434억 원), 보령시 109.9%(2097억 원) 등 7개 시·군이 목표를 초과했으며, 연기군(85.5%), 서천군(81.3%), 논산시(79.4%) 등 9개 시·군이 목표에 미달됐다.
도는 지난 3월 말 중간평가에서 11억 원의 인센티브를 획득한데 이어 이번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로부터 수십억 원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받을 예정이다.
또 이번 실적이 정부 시책을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아 올 하반기 내년도 국비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분석했다.
도는 서민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인 효과가 큰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일자리사업, 서민생활안정사업 등을 중심으로 재정을 조기 집행했으며, 도청 신청사 건축에 가장 많은 재정이 조기 투입됐다.
박범인 도 예산담당관은 “조기집행을 포기할 경우 재정의 70% 정도가 하반기에 집행돼 상반기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작용할 우려가 있어 강행했다”며 “조기집행에 동참한 시·군에 대해서도 자체 평가를 통해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