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없이 소모적 논쟁만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충주대 통합 문제가 이달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충북도가 지난 달까지 정부에 제출해야 할 의견서를 내지 않은 가운데 통합이 무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행정 절차가 늦어져 자칫 통합이 무산될 경우엔 통합 여부를 떠나 충주대의 내년도 신입생 모집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이럴 경우, 충주대는 물론 충북도 역시 “대안 없이 반목만 부추겼다”는 도민들의 냉정한 비판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또 대학 간 풀어야 할 문제를 정치권이 개입, 내년 총선에 쟁점화 하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비껴 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대안 없이 반대 입장만 고집하는 충북도는 주민 공청회 등 행정 절차를 지켜 대의에 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충주대 등에 따르면 충북도는 철도대와의 통합으로 수도권에 대학을 신설 또는 증설할 때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에 따라 지난달 말까지 교과부에 내야 할 도지사 의견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다양한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제출하다는 게 도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까지 도지사의 긍정적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해 올 안에 정부의 승인을 얻으려던 충주대의 통합 추진도 ‘급제동’이 걸렸다.

충주대 관계자는 “충북도에 3차례나 도지사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했지만 일방적인 의견서 제출 요청을 자제해 달라는 회신만 왔다”면서 “적극적인 해결 방안 없이 시간 끌기를 해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도지사 의견서 없이는 통합이 진전되기 어렵고 충북도도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제출한다는 방침이이서 통합 지연은 불가피 해 보인다.

충주대는 “이럴 경우 당장 내년도 신입생 모집에도 차질이 생긴다”며 “올해 철도대와 통합이 안 되면 영원히 철도대와 통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충북도는 빠른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통합 찬반 입장을 내야 할 것”이라고 충북도를 압박했다. 반면 이시종 지사는 최근 한 방송 인터뷰를 통해서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은 행위’라고 반대 입장을 재차 확인해 충주대 통합 문제는 이달 들어 최대 갈림길에 설 전망이다.

충주=김지훈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