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중소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속기간이 짧아 지역 중소기업들이 운영에 차질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1년의 의무계약기간이 끝나면 타 업체와의 자유계약이 가능해 더 좋은 조건의 회사를 찾아 떠나는 일이 흔한 일이 돼 버렸다고 입을 모았다.
지역의 부품 생산업체인 A기업은 현재 6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 중이다. 지난 2004년 이후 인력난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한 이 업체는 7년 새 30여 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거쳐 갔다.
현재 6명의 외국인 근로자 역시 방글라데시인 1명(3년째 근무)을 제외한 5명이 모두 2년이 되지 않는 근속기간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일하던 외국인 근로자 3명이 재계약을 원하지 않는다며 경기도 등지로 떠나버렸다”며 “올해 2명이 새로 왔는데 이들도 벌써부터 힘들어하는 모습이 보여 내년 재계약을 장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인근에 위치한 기계·장비 업체인 B기계의 사정은 더 열악하다.
위험한 작업과 잔업이 많은 업종의 특성 탓에 의무계약기간인 1년조차 지키지 못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나타나는 일도 수차례 벌어졌다.
업체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수당과 휴가까지 보장해줬지만, 대부분이 견디지 못하고 1년 의무계약이 끝나자마자 도망치듯 나가버렸다”며 “이후 우리 업체의 업무가 힘들고 위험하다는 소문이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퍼져 인력 수급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 같은 잦은 사원교체에 대해 업체 입장에서는 생산의 효율성 저하를 일으켜 결국 회사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타 업체들의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을 들며 생산성 저하가 내수·수출 등의 부진을 가져와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중소 제조업체 사장은 “말이 통하는 한국사람도 업무 파악부터 숙달까지 1년 가까이 걸리는 작업이 많은데 외국인의 경우 1년이면 이제 막 업무에 적응한 정도로 보면 된다”며 “외국인 근로자들이 익숙해진 것 같으면 그만두는 통에 생산량이 줄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역 중소 제조업계는 외국인 근로자를 통해 업체의 생산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최소 2년의 의무계약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업무 능률이 발휘되는 데 1년의 의무계약기간은 너무나 짧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업무적응력이 짧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업체가 볼 때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라며 “의무계약기간 연장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는 업체들이 좀 더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제도가 정비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들 업체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1년의 의무계약기간이 끝나면 타 업체와의 자유계약이 가능해 더 좋은 조건의 회사를 찾아 떠나는 일이 흔한 일이 돼 버렸다고 입을 모았다.
지역의 부품 생산업체인 A기업은 현재 6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 중이다. 지난 2004년 이후 인력난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한 이 업체는 7년 새 30여 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거쳐 갔다.
현재 6명의 외국인 근로자 역시 방글라데시인 1명(3년째 근무)을 제외한 5명이 모두 2년이 되지 않는 근속기간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일하던 외국인 근로자 3명이 재계약을 원하지 않는다며 경기도 등지로 떠나버렸다”며 “올해 2명이 새로 왔는데 이들도 벌써부터 힘들어하는 모습이 보여 내년 재계약을 장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인근에 위치한 기계·장비 업체인 B기계의 사정은 더 열악하다.
위험한 작업과 잔업이 많은 업종의 특성 탓에 의무계약기간인 1년조차 지키지 못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나타나는 일도 수차례 벌어졌다.
업체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수당과 휴가까지 보장해줬지만, 대부분이 견디지 못하고 1년 의무계약이 끝나자마자 도망치듯 나가버렸다”며 “이후 우리 업체의 업무가 힘들고 위험하다는 소문이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퍼져 인력 수급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 같은 잦은 사원교체에 대해 업체 입장에서는 생산의 효율성 저하를 일으켜 결국 회사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타 업체들의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을 들며 생산성 저하가 내수·수출 등의 부진을 가져와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중소 제조업체 사장은 “말이 통하는 한국사람도 업무 파악부터 숙달까지 1년 가까이 걸리는 작업이 많은데 외국인의 경우 1년이면 이제 막 업무에 적응한 정도로 보면 된다”며 “외국인 근로자들이 익숙해진 것 같으면 그만두는 통에 생산량이 줄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역 중소 제조업계는 외국인 근로자를 통해 업체의 생산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최소 2년의 의무계약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업무 능률이 발휘되는 데 1년의 의무계약기간은 너무나 짧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업무적응력이 짧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업체가 볼 때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라며 “의무계약기간 연장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는 업체들이 좀 더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제도가 정비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