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역 수질 개선을 놓고 충남과 전북의 이해관계가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양 지역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허재영 금강비전기획위원장(대전대 토목공학과 교수)은 29일 충남도청 정책기획관실에서 열린 금강비전기획위원회 실행기획단 회의에 앞서 “금강하구역의 해수유통 여부를 놓고 상호 갈등을 빚고 있는 충남과 전북의 이해대립을 해소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밝혔다.
허 위원장은 “충남도가 금강하구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해수 유통을 요구하는 반면 전북도의 경우 해수가 유통될 시 염도 상승으로 용수 이용이 불가능하다며 상호 대립을 보여 왔다”며 “그러나 수문을 적절히 조정할 경우 염수가 들어오는 구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많은 계산과 실험이 있어야 하지만 염수 구역을 최소화해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한편 용수를 위한 취수원을 상류쪽으로 이동 시키는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수문 개방을 적절히 조정한다면 (양 지역 간 갈등) 해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허 위원장은 “충남과 전북이 합리적 의견을 제시하고 협의하는 등 이 문제를 공론화하고 함께 연구한다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충남도 금강비전기획위원회는 내달 22일 금강하구역 토론회를 열고 전북과 함께 합리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고 29일 밝혔다.
위원회에 따르면 내달 금강하구역 토론회의 주제발표는 총 4개로 충남과 전북이 각각 1개씩 발표해 토론의 균형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또 충남과 전북의 주제발표에 이어 전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가 하굿둑의 가치와 4대강 이후 금강의 관리를 주제로 각각 발표를 이어나간다.
토론자로는 서천과 부여 대표를 비롯해 각 지역의 시민단체 대표 등 7명으로 심도있는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허 위원장은 “토론회에서 도출되는 의견들을 정리해 국토해양부에 정식 건의 할 계획”이라며 “이번 토론이 양 지역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하며 향후 토론이 필요하거나 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수시로 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강하굿둑은 충남도와 전북도의 도계를 이루며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총길이 401㎞의 금강 하구를 막아 건설한 둑이다.
그러나 장기간 해수 유통이 차단되며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자 충남도와 서천군은 하굿둑 일부를 철거하고 해수를 유통시킬 것을 주장한 반면 전북도와 군산시 등은 농업·공업용수 공급 차질을 우려하며 철거를 반대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