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소기업들의 외국인 근로자 구인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은 ‘외국인력 쿼터제’로 인한 인력수급난과 함께 지방근무 및 3D업종을 기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성향이 뚜렷해져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를 위해 최근 보름 가량 앞당겨 실시한 ‘3분기 외국인 근로자 쿼터 7000명 배정’이 신청접수를 시작한 지 6일 만에 마감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하루 평균 1400명 꼴로 배정된 셈이며, 지난 1분기 1만 8000명 배정에 3주가 걸렸던 것 보다 마감기한이 짧아진 것이다.
이처럼 국내 중소기업 사이에서 ‘외국인력 쟁탈전’이 심화되는 이유는 점차 활기를 띄는 제조업 경기로 인해 많은 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막상 인력 공급이 수요에 못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이른 바 ‘3D업종’이 많다보니 내국인 구직자는 찾아보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최근 외국인 근로자들 역시 힘든 업종에 종사하는 것을 꺼려해 인력난이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 중소제조업체 관계자는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근로자들의 수준이 최근 눈에 띄게 높아지면서 이들의 ‘정보네트워크’ 역시 발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외국인근로자들 사이에서도 이미 회사의 업종, 임금, 근로환경, 복지수준을 고려해 기피업체가 나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중소기업계는 최근 외국인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수입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수도권이나 신흥 공업지역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지역 중소기업들은 수도권 소재 업체들에 비해 인력 수급이 훨씬 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전지역 대부분의 중소 제조업체들은 법적으로 허용된 외국인 근로자 수에 못미치고 있는 외국인력을 채용하고 있음은 물론, 일자리지원센터 등으로부터 추천받은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퇴짜’를 맞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행정안전부의 ‘2011년 외국인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55만 2946명에 달하는 외국인 근로자 중 충남지역에는 2만 6091명(4.7%), 대전지역에는 3917명(0.7%)의 외국인 근로자들만이 일하고 있다.
경기도에 20만 3736명, 서울에 14만 4676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거주, 전체의 63%에 달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와 관련해 지역 중소기업계와 중기중앙회 측은 정부에 외국인 쿼터를 확대하고, 절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업종에 집중적으로 인력을 투입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대전과 충남지역에는 연간 700~800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투입되고 있지만 이는 분명 수요에 턱없이 못미치는 수치”라며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체들과 협력해 정부에 적재적소에 외국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들 중소기업은 ‘외국인력 쿼터제’로 인한 인력수급난과 함께 지방근무 및 3D업종을 기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성향이 뚜렷해져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를 위해 최근 보름 가량 앞당겨 실시한 ‘3분기 외국인 근로자 쿼터 7000명 배정’이 신청접수를 시작한 지 6일 만에 마감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하루 평균 1400명 꼴로 배정된 셈이며, 지난 1분기 1만 8000명 배정에 3주가 걸렸던 것 보다 마감기한이 짧아진 것이다.
이처럼 국내 중소기업 사이에서 ‘외국인력 쟁탈전’이 심화되는 이유는 점차 활기를 띄는 제조업 경기로 인해 많은 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막상 인력 공급이 수요에 못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이른 바 ‘3D업종’이 많다보니 내국인 구직자는 찾아보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최근 외국인 근로자들 역시 힘든 업종에 종사하는 것을 꺼려해 인력난이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 중소제조업체 관계자는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근로자들의 수준이 최근 눈에 띄게 높아지면서 이들의 ‘정보네트워크’ 역시 발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외국인근로자들 사이에서도 이미 회사의 업종, 임금, 근로환경, 복지수준을 고려해 기피업체가 나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중소기업계는 최근 외국인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수입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수도권이나 신흥 공업지역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지역 중소기업들은 수도권 소재 업체들에 비해 인력 수급이 훨씬 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전지역 대부분의 중소 제조업체들은 법적으로 허용된 외국인 근로자 수에 못미치고 있는 외국인력을 채용하고 있음은 물론, 일자리지원센터 등으로부터 추천받은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퇴짜’를 맞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행정안전부의 ‘2011년 외국인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55만 2946명에 달하는 외국인 근로자 중 충남지역에는 2만 6091명(4.7%), 대전지역에는 3917명(0.7%)의 외국인 근로자들만이 일하고 있다.
경기도에 20만 3736명, 서울에 14만 4676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거주, 전체의 63%에 달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와 관련해 지역 중소기업계와 중기중앙회 측은 정부에 외국인 쿼터를 확대하고, 절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업종에 집중적으로 인력을 투입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대전과 충남지역에는 연간 700~800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투입되고 있지만 이는 분명 수요에 턱없이 못미치는 수치”라며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체들과 협력해 정부에 적재적소에 외국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