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5년까지 모든 초중고교에서 종이 교과서를 대체하는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9일 21세기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체제'를 실현하는 내용을 담은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밝혔다. 추진전략에 따르면 오는 2014년에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만들어진다.
이 교과서는 교사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사전, 공책,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기능을 연계한 미래형 교과서로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모든 단말기에서 사용된다.
당분간 종이 교과서와 병행해 사용되는 디지털 교과서는 무거운 책가방을 대신하고 학습지와 참고서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어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수업이 활성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평가와 개인별 학업수준 진단도 이뤄진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수행평가 모델을 만들고 시범학교를 운영하며 2015년까지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인터넷 기반 평가(IBT) 형태로 단계적으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모두 2조 2281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9일 21세기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체제'를 실현하는 내용을 담은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밝혔다. 추진전략에 따르면 오는 2014년에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만들어진다.
이 교과서는 교사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사전, 공책,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기능을 연계한 미래형 교과서로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모든 단말기에서 사용된다.
당분간 종이 교과서와 병행해 사용되는 디지털 교과서는 무거운 책가방을 대신하고 학습지와 참고서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어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수업이 활성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평가와 개인별 학업수준 진단도 이뤄진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수행평가 모델을 만들고 시범학교를 운영하며 2015년까지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인터넷 기반 평가(IBT) 형태로 단계적으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모두 2조 2281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