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노믹스 논문표지. KAIST 제공 | ||
난소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이 한층 더 정확해진다.
KAIST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 이도헌 교수팀이 난소암 환자의 선천적 유전 특징과 후천적 유전자 발현 특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이용해 난소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개인 맞춤형 의약품개발의 핵심기술이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난소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해서는 특이 유전자형과 유전자 발현 특성을 찾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암과 같이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후천적 요인에 따른 유전자 발현 패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합질환은 치료효과와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 교수팀은 생물정보학 기술 중 하나인 상호연관 네트워크 모델링을 이용해 개인별 유전자의 특징과 발현특성을 분석, 이를 생존기간의 인자로 사용해 난소암환자 생존기간 예측의 정확도를 13% 이상 높였다.
또 항암치료 후 결과의 개인차를 유발하는 유전적 특성과 유전자 발현패턴의 상호작용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차에 의한 항암 치료 생존기간의 예측도 가능해졌다.
이 교수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유전자 연구와 개인 맞춤형 치료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기”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난소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과 개인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교수를 비롯해 백효정 박사과정과 김준호 박사과정, 하버드대 이은정 박사, 삼성SDS 박인호 박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연구는 세계적 학술지인 ‘지노믹스(Genomics)’ 6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