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민선 5기 1년을 맞아 실시한 복지보건분야 업무평가 결과, 복지사업의 상호 연계와 수요자 중심의 업무 추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충남도 실정에 맞는 복지보건 전달체계 개선과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 시스템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27일 충남여성정책개발원에서 열린 정책자문위원회 복지행정분과 제1차 회의에서 민선 5기 1년 동안 추진된 복지보건분야 사업에 대해 수요자 중심의 업무 추진 미흡, 복지보건 관련 단체들과 협력 부족 등이 아쉬움으로 지적됐다.
올해 제정된 충남도 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 촉진조례에 따른 중중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의 경우 구매실적이 당초 목표의 10% 미만에 그치고 있어 활성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는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확대와 재활·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복지단체 생산품을 우선 구매하는 제도이다.
또 사회복지사업에 따라 개인이 설치·운영하는 사회복지 시설에 대해서도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지만 국도비 지원이 법정시설에 편중 돼 장애인 개인운영신고시설의 재정난이 심화되고 있다.
도내 개인시설 생활장애인이 전체의 14%에 달하고, 시설서비스 수요자인 만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 밖에도 도내 지방의료원이 자금난 압박으로 심각한 경영적자에 빠져 있어 이에 대한 재정지원도 논의됐다.
천안, 공주, 홍성 등 도내 3개 의료원은 지난해 평균 12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으며, 과도한 지역개발기금 차입채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향후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복지통합 콜센터 설치를 추진하고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설치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를 위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