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논산 강경천 등 4개 금강 지류 하천을 중점 관리대상으로 선정, 오는 2013년까지 991억 원을 투입해 수질을 개선한다고 27일 밝혔다.
도는 지류 하천 중·장기 관리계획을 마련, 본류 중심 관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충청의 젖줄인 금강의 생태계 건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중점 관리 4개 지류 하천은 공주 정안천과 논산 강경천, 논산·부여 석성천, 연기 조천 등으로, 지난 2006년부터 5년간 단위 면적당 오염원 배출이 많고 최근 3년간 수질 개선이 저조한 하천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들 하천은 지난 2006~2010년 평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5)이 3.6~6.4㎎/ℓ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유입이 수질 악화 원인으로 조사됐다.
도는 앞으로 중점관리 4개 지류 하천에 대해 수질개선 효과가 큰 환경기초시설을 설치하거나 운영을 개선하는 등 오염원 저감 및 개선 계획을 우선 적용·시행한다.
또 수계별 특성에 따른 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계획 수립과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 설치 유도, 생태하천 복원사업 확대 등도 추진한다. 오염원 분석을 통한 집중관리로 목표수질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확충에 526억 원, 관거 정비사업 444억 원, 오염저감사업 22억 원 등 총 991억 원(국비 포함)이 투입된다.
도는 이를 통해 4개 지류 하천 오염부하량을 30%(BOD5)이상 저감, 수질을 2∼3등급으로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도는 또 이들 하천에 대해 2013년까지 연 2회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등을 실시, 수질개선 효과 분석·평가를 실시한다.
구삼회 도 환경녹지국장은 “지류 하천 수질개선 사업은 맑고 깨끗한 금강 보전에 큰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금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도민 협조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 생활 속 물 절약 운동과 공공수역 오염물 투기 안 하기, 샛강·실개천 살리기 운동 등 금강 수질개선 캠페인 등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도는 지류 하천 중·장기 관리계획을 마련, 본류 중심 관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충청의 젖줄인 금강의 생태계 건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중점 관리 4개 지류 하천은 공주 정안천과 논산 강경천, 논산·부여 석성천, 연기 조천 등으로, 지난 2006년부터 5년간 단위 면적당 오염원 배출이 많고 최근 3년간 수질 개선이 저조한 하천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들 하천은 지난 2006~2010년 평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5)이 3.6~6.4㎎/ℓ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유입이 수질 악화 원인으로 조사됐다.
도는 앞으로 중점관리 4개 지류 하천에 대해 수질개선 효과가 큰 환경기초시설을 설치하거나 운영을 개선하는 등 오염원 저감 및 개선 계획을 우선 적용·시행한다.
또 수계별 특성에 따른 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계획 수립과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 설치 유도, 생태하천 복원사업 확대 등도 추진한다. 오염원 분석을 통한 집중관리로 목표수질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확충에 526억 원, 관거 정비사업 444억 원, 오염저감사업 22억 원 등 총 991억 원(국비 포함)이 투입된다.
도는 이를 통해 4개 지류 하천 오염부하량을 30%(BOD5)이상 저감, 수질을 2∼3등급으로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도는 또 이들 하천에 대해 2013년까지 연 2회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등을 실시, 수질개선 효과 분석·평가를 실시한다.
구삼회 도 환경녹지국장은 “지류 하천 수질개선 사업은 맑고 깨끗한 금강 보전에 큰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금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도민 협조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 생활 속 물 절약 운동과 공공수역 오염물 투기 안 하기, 샛강·실개천 살리기 운동 등 금강 수질개선 캠페인 등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