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산적한 지역현안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는 만큼 가시적 성과가 나오지 않자 지역정치권의 정치력 부재 탓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선 5기 들어 충북도는 이시종 지사를 비롯해 각 실·국장, 실무자 등이 지역현안 문제 해결과 예산확보를 위해 관련부처를 직접 방문, 사업의 필요성 등을 홍보하며 총력전을 벌여왔다.
도는 최근까지 각 중앙부처에서 기획재정부에 제출될 2012년 예산요구서에 지역과 관련된 예산을 반영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관련부처를 방문하는 등 예산확보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도는 중앙부처에 충청내륙고속화도로 건설을 위한 기본설계비 및 실시설계 용역비 50억 원을 비롯해 청주공항~천안 복선전철화 하반기 예비타당성 대상사업 선정, 첨단의료복합단지법인 인건비·운영비 지원, 바이오산림휴양밸리 조성사업 등에 대한 지원을 기획재정부에 건의했다.
또 솔라엑스포 개최,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건립 및 장비 구입, 개별형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및 국비지원 등을 관련부처에 요구했다.이밖에 도는 국립암센터 분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 건립과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지역현안 해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내년 정부예산 확보는 물론 각종 지역현안 해결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예산확보는 국회의원들이 내년 4월 총선을 의식해 자신의 지역구 관련 예산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그나마 충북은 야당의원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일부 공직자들은 “정부 예산확보를 위해 중앙부처를 방문해보면 야당지역의 한계성을 실감할 수 있다”며 “야당 국회의원이라도 나름대로 정치력을 발휘하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을 경우 중앙부처를 설득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토로했다.
충북은 여당 국회의원이 2명에 불과하지만 나름대로 당과 정부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중진급 인물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걸었지만, 자신의 지역구 외에는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충북의 백년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오송바이오산업에 필수적인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불투명해지면서 지역출신 여당 국회의원 역할론이 나오고 있다.
국립암센터 오송분원 유치가 대구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고,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도 대구출신 국회의원이 지역유치에 나섰지만, 지역정치권에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첨복단지 조성 경쟁지역인 대구가 여권의 막강한 정치력을 앞세워 충북에 유치될 각종 국가기관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 놓였지만, 지역정치권은 여야를 막론하고 방어는 고사하고 무기력증 마저 보이고 있다.
충북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충북은 야당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야당지역으로 인식되면서 중앙부처에서 현안과 예산 확보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느낌을 받는다”며 “소수의 지역출신 여당의원들이 당정에서 실세로 인식되고 있지만,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지역정치력 부재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