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27일 오전 청와대에서 조찬을 겸한 회동을 하고 등록금 인하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여당 당적의 대통령과 원내 야 1당 대표가 양자 간 회담을 갖는 것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민생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도출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회동에선 등록금 문제 이외에도 한·미 FTA 비준안 처리 등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어서 현안 해결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될 지가 주목된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동철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은 21일 각각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과 손 대표 간 회담 개최 일자와 회담 의제에 대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양자 간 회담 의제는 △대학등록금 인하 방안 △저축은행 비리 사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일자리 창출 대책 △추가경정예산 편성 여부 △가계부채 해결 방안 등 6개로 확정됐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회동은 지난 2008년 9월 이 대통령과 정세균 당시 민주당 대표의 만남 이후 거의 3년 만으로 여야 관계가 협력과 대화 분위기로 이어질지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각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는데다 회담에서 실질적인 결과물을 이끌어 낼지도 불투명해 오히려 회담 이후 후폭풍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와 민주당은 ‘6대 의제’가 정해진 만큼 앞으로 실무 접촉을 통해 세부 의제와 논의 방향을 세밀하게 조율해 성공적인 회담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야당 대표와) 오랜만에 만나는 것인 만큼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결실이 있는 만남이 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면서 “(회담 결과는) 발표 형식이 될 수도 있고 합의문 형식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동철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은 브리핑에서 “청와대 측이 한·미 FTA 비준안 처리문제를 강력히 요청해서 우리가 요청한 민생 관련 5가지 의제에다 FTA까지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고 의제 선정 과정을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여당 당적의 대통령과 원내 야 1당 대표가 양자 간 회담을 갖는 것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민생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도출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회동에선 등록금 문제 이외에도 한·미 FTA 비준안 처리 등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어서 현안 해결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될 지가 주목된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동철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은 21일 각각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과 손 대표 간 회담 개최 일자와 회담 의제에 대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양자 간 회담 의제는 △대학등록금 인하 방안 △저축은행 비리 사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일자리 창출 대책 △추가경정예산 편성 여부 △가계부채 해결 방안 등 6개로 확정됐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회동은 지난 2008년 9월 이 대통령과 정세균 당시 민주당 대표의 만남 이후 거의 3년 만으로 여야 관계가 협력과 대화 분위기로 이어질지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각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는데다 회담에서 실질적인 결과물을 이끌어 낼지도 불투명해 오히려 회담 이후 후폭풍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와 민주당은 ‘6대 의제’가 정해진 만큼 앞으로 실무 접촉을 통해 세부 의제와 논의 방향을 세밀하게 조율해 성공적인 회담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야당 대표와) 오랜만에 만나는 것인 만큼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결실이 있는 만남이 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면서 “(회담 결과는) 발표 형식이 될 수도 있고 합의문 형식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동철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은 브리핑에서 “청와대 측이 한·미 FTA 비준안 처리문제를 강력히 요청해서 우리가 요청한 민생 관련 5가지 의제에다 FTA까지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고 의제 선정 과정을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