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이 충북, 대전 건설업체 세종시 공사 참여를 반대하고 나서 충청권 상생론에 대한 비판이 일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종시 원안 추진 공조에 동참한 충북은 땅만 내주고 실익을 찾지 못할 경우 내년 총선에서 핫이슈로 등장할 가능성이 커 지역정가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충남도는 세종시 건설과 관련, 충북, 대전 건설업체의 공사 참여 추진에 반대한다는 대한건설협회 충남도회의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번 주 중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재논의될 세종시 건설에 충북업체의 참여를 골자로 한 송광호 의원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일부 개정 법률안’의 국회 통과 여부가 주목된다.
충북지역 건설업체의 세종시 공사 참여 문제가 논란을 빚으면서 충청권 공조에 따른 지역 실익론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충북은 세종시 원안 추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유치 등 3개 시·도의 공동현안을 위한 공조에 동참했다. 세종시 원안 추진의 경우 충북은 청원군 부용면 일부 지역을 편입하면서까지 철저하게 공조했다. 세종시 원안 추진이 확정된 후 지역 일부가 편입된 충북지역 업체의 공사참여 기대감이 높았으나, 현재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충남이 반대하고 나섰다.
충북 건설업체의 세종시 공사 참여가 난항을 겪으면서 충청권 공조에 대한 비판론이 나오고 있다. 충북은 세종시 원안 추진 공조로 지역업체의 건설 참여 등을 기대했지만, 충남이 반대입장을 보이면서 “땅만 내준 꼴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높다.
국회에서 재논의될 관련법의 통과 여부에 따라서 내년 총선에서 선거이슈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 원안 추진에 대한 충청권 공조를 위해 충북은 모든 역량을 쏟았으며, 일부 반대여론에도 불구 청원군 부용면 일부 지역을 편입시켰다”며 “충남이 반대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논의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세종시뿐 아니라 과학벨트에 대한 충청권 공조 결과물이 충북 입장에서는 만족스런 것이 아니다”며 “충청권 공동현안에 대한 공조 결과가 어떤 형태로 나오느냐에 따라서 지역정치권 이슈로 등장, 내년 총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충청권은 세종시 원안 추진에 이어 과학벨트도 충청권 유치라는 공조 목표를 달성했다. 그 결과 대전은 핵심시설이 들어서는 거점지구, 오송·오창은 기능지구로 지정돼 실속없는 공조 결과물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