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2호선 노선과 관련해 지역민심이 사분오열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 대덕구가 구체적 근거나 절차적 타당성 등을 간과한 채, 또 다시 조변석개식 수정안을 제시하며 도시철 건설 항로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덕구는 2조여 원 가까이 소요되는 도시철도 건설 사업을 ‘무조건 우리지역으로 지나야 한다’는 지역이기에 함몰돼 독자적인 노선안을 제시한 데 이어, 대덕구 관내 일부 지역에서 또 다른 민원이 야기되자 노선의 추가 변경을 요구하는 등 방향타를 상실한 편의주의적 주장에 매달리고 있다.

실제 16일 대전시와 대덕구 등에 따르면 정용기 대전 대덕구청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기존 대전시안을 본선으로 하고, 중리사거리에서 법동, 읍내사거리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것을 지선으로 하면 된다”며 새로운 수정안을 처음으로 언급했다.

정 청장은 또 “인구가 밀집돼 있는 법동지역, 도시개발의 거점 역할을 할 읍내지역을 고려해 역사 2곳만 만들면 되는 것 아니냐”며 도시철도를 하나의 마을버스와 같은 개념으로 접근했다.

대덕구는 그동안 대전시의 순환형 노선(진잠~중리4거리~유성온천역)에 반발하며, 중리4거리~법동~연축·회덕~전민동~유성온천역을 잇는 노선으로 변경해 줄 것을 줄기차게 주장했다.

그러나 시 노선은 중리4거리를 기점으로 이 일대와 오정동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대덕구의 수정안은 중리동 일부와 오정동을 제외한 채 법동으로 빠져나간다는 점에서 중리동과 오정동 일대 주민들이 크게 반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오정동에 사는 최 모(47) 씨는 “구청 직원들이 와서 ‘서명운동에 참여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을 때 왜 우리가 참여하냐. 시 안대로 가면 도시철도 혜택을 보는 데 대덕구가 나서는 바람에 우리는 오히려 피해를 보게 됐다"며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또 다른 주민 이 모(45·오정동) 씨도 “대덕구 직원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오정동 주민들이 좀 이해하고,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대전시에게는 교통복지와 지역 균형발전을 외친 대덕구가 정작 구민들한테는 희생을 강요하는 말도 안 되는 행정이 자행되고 있다"며 대덕구의 현 상황을 꼬집었다.

결국 이 일대 주민들의 강한 민원과 항의가 계속되자 정 청장은 그동안 줄기차게 주장했던 중리4거리~법동~연축·회덕 노선에서 전무후무한 지선 개념을 도입해 또 다시 수정안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대덕발전구민위원회 등 대덕구 6개 자생단체가 지난 2일 도시철도 2호선 대덕구 노선 연장을 주장하는 구민 12만 명의 서명부를 시에 전달한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아 또 다른 무리수를 뒀다는 점이다. 여기에 대덕구는 시에 정식 공문이나 공식적 절차도 생략한 채 언론을 통해 노선의 재수정안을 제시하는 등 대화와 협의보다는 구민들을 동원한 집단행동으로 일관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정 청장은 이날 “12월까지만 예타를 신청하면 되는 것 아닌가. 대덕구뿐만 아니라 시민단체, 교통전문가들 모두 대전시안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강행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라며 자신의 행태를 정당화했지만 구체적으로 '시 노선안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말한 교통전문가가 누구인지는 끝내 밝히지 않았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