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15일 양건 감사원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지난해 실시한 저축은행 감사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따졌다.
여야 의원들은 감사원의 늑장 처리,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비리의혹 사건 등을 거론하며 감사원을 성토하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민주당 이춘석 의원(전북 익산 갑)은 “과거 KBS 감사 등에서는 수시로 감사위원회를 하면서 전광석화처럼 일 처리를 하던 감사원이 저축은행 감사결과를 1년이나 지나서 발표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신지호 의원(서울 도봉 갑)도 “감사결과 처리기한이 법으로도 정해져 있지 않다. 신속히 처리했다면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지 않았겠느냐”면서 “감사보고서 채택이 질질 늘어지니 로비의 소지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은 전 감사위원의 로비 의혹에 대해서도 여야의 비판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정갑윤 의원(울산 중구)은 “상층부가 썩었다. 감사위원이 재직 중 구속되는 사태가 있었느냐”고 몰아붙였다.
민주당 김학재 의원(비례)도 “은 전 감사위원은 감사원의 중립성과 독립성 유지라는 측면에서 아주 부적격한 인물이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박지원 의원(전남 목포)은 “노무현 정부에서는 쌀 직불금 문제로 감사위원 전원이 사표를 냈는데 감사원장과 감사위원 전원이 사표를 내고 물러날 생각이 있느냐”고 따졌다.
답변에 나선 양 원장은 “감사 처리기간이 장기화된 것은 사실이고 잘못됐다. 감사 사항이 100건에 달하는 등 광범위해 불가피한 일면이 있었다”고 사과한 뒤 “작게는 하계휴가 등으로 처리가 누적·지체되면서 장기간 걸렸다”고 설명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여야 의원들은 감사원의 늑장 처리,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비리의혹 사건 등을 거론하며 감사원을 성토하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민주당 이춘석 의원(전북 익산 갑)은 “과거 KBS 감사 등에서는 수시로 감사위원회를 하면서 전광석화처럼 일 처리를 하던 감사원이 저축은행 감사결과를 1년이나 지나서 발표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신지호 의원(서울 도봉 갑)도 “감사결과 처리기한이 법으로도 정해져 있지 않다. 신속히 처리했다면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지 않았겠느냐”면서 “감사보고서 채택이 질질 늘어지니 로비의 소지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은 전 감사위원의 로비 의혹에 대해서도 여야의 비판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정갑윤 의원(울산 중구)은 “상층부가 썩었다. 감사위원이 재직 중 구속되는 사태가 있었느냐”고 몰아붙였다.
민주당 김학재 의원(비례)도 “은 전 감사위원은 감사원의 중립성과 독립성 유지라는 측면에서 아주 부적격한 인물이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박지원 의원(전남 목포)은 “노무현 정부에서는 쌀 직불금 문제로 감사위원 전원이 사표를 냈는데 감사원장과 감사위원 전원이 사표를 내고 물러날 생각이 있느냐”고 따졌다.
답변에 나선 양 원장은 “감사 처리기간이 장기화된 것은 사실이고 잘못됐다. 감사 사항이 100건에 달하는 등 광범위해 불가피한 일면이 있었다”고 사과한 뒤 “작게는 하계휴가 등으로 처리가 누적·지체되면서 장기간 걸렸다”고 설명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