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가 확정된 가운데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국비 예산 규모와 배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거점지구로 확정된 대전시 유성구 신동지구 등의 부지 매입비를 놓고 정부가 모호한 입장을 내놓고 있어 내년 예산안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15일 국회 교과위 관계자에 따르면 과학벨트 예산안은 이달 중 교과부가 안을 만들고 8월까지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거친 뒤 9월부터 시작되는 정기국회에 제출된다. 예산안이 정기국회에 제출되면 관련 상임위인 교과위에서 삭감 혹은 증액 검토를 하게 되는데 최종적으로 국회 예결위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6월 임시국회에선 예산안 윤곽이 나와 있지 않아 과학벨트 예산에 대한 논의는 없는 상황이지만 대전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최대한의 국비지원을 끌어내려는 물밑 활동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벨트 입지 선정 당시 정부가 계획한 예산은 2017년까지 5조 1800억 원으로 △기초연구 지원 3조 5456억 원 △연구기반 조성 8700억 원 △중이온가속기 구축 4604억 원 △기능지구 지원 3040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 예산안에는 부지매입비 항목이 빠져 있어 당장 내년도 예산에 어느 정도의 부지매입비가 반영될 지 관심을 끌고 있다.
교과위 관계자는 “과학벨트 예산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온 것은 없는 상황”이라면서 “정기국회 예산 심사에서 과학벨트 예산 규모가 상당히 관심을 끌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